남녀 1천명 전화설문 결과, "원내약국 폐쇄 개선해야"
병원계가 약제비 종별 본인부담률 차등적용 움직임에 원내 약국 개설로 반격하고 나섰다.
병원협회 산하 한국병원경영연구원은 13일 “조사결과 국민의 73%가 원내 약국과 일반약국의 조제가 가능한 환자선택권 보장에 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월 한국리서치가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73%가 현행처럼 약국을 통해 조제하거나 병원내 약국에서 조제하는 약국선택권을 보장하는 임의분업 방식에 찬성했다.
연구원측은 1997년 의약분업을 실시한 대만의 경우도 외래환자의 약국선택권을 보장하고 있어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가 병원 외래환자 약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의원과 약국 등을 의약분업에 참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원내약국 폐쇄조치는 제도가 정착된 현 시점에서 약국선택권 보장책으로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약국선택권 이라는 소비권리 확보와 사회적인 비용감솔ㄹ 위한 원내 약국 제도개선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월 한국리서치가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73%가 현행처럼 약국을 통해 조제하거나 병원내 약국에서 조제하는 약국선택권을 보장하는 임의분업 방식에 찬성했다.
연구원측은 1997년 의약분업을 실시한 대만의 경우도 외래환자의 약국선택권을 보장하고 있어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가 병원 외래환자 약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의원과 약국 등을 의약분업에 참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원내약국 폐쇄조치는 제도가 정착된 현 시점에서 약국선택권 보장책으로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약국선택권 이라는 소비권리 확보와 사회적인 비용감솔ㄹ 위한 원내 약국 제도개선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