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요율 없어 부르는 게 값, 최대 50% 이상 비용 차이
# 세무사를 통해 종합소득세를 신고했던 A원장은 조정료와 기장료를 포함, 연 260만원이 넘는 돈을 세무사에 주고 있었다. 비싼 감이 들어 다른 세무사에 알아보니 현재 보다 30% 적은 금액으로 대행해 주겠다는 말을 들었다.
이달부터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들어가면서 개원가에서 세무사의 조정료, 기장료에 관한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자료사진
기장료와 조정료에 대한 공식 요율표가 없는 데다 세무사 업계에서도 기장료 덤핑 등 출혈 경쟁을 벌이고 있어, 세무사별 요율이 크게는 50% 이상 차이가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30일 경기도의 K의원 원장은 "조정료 문제로 최근 세무사를 바꿨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매출액 3억원 기준으로 매달 15만원의 기장료와 연 조정료 80만원을 포함 해마다 260만원을 세무사에 줬다는 것.
그는 "비싼 감이 들어 다른 세무사에 알아보자 기장료는 10만원, 조정료는 50만원에 해주겠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서 "기존 세무사가 절세를 위해 노력해 준 것은 인정하지만 그래도 바가지를 씌웠다는 느낌이 들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조정료와 기장료에 대해 납득할 만한 근거 기준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동대문구의 Y의원 원장은 "납부 세금보다 조정료가 더 많아 세무사에 요율 근거 기준을 문의하니 바로 20%를 깎아주겠다는 말을 해 지금까지 손해본 느낌이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조정료와 기장료로 문제로 세무사를 바꾸려고 해도 지금까지 내던 세금액이 확 늘지나 않을지 이도 저도 못하는 개원의들이 많을 것이다"며 "인근 세무사의 요율을 어느 정도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달부터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들어가면서 개원가에서 세무사의 조정료, 기장료에 관한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30일 경기도의 K의원 원장은 "조정료 문제로 최근 세무사를 바꿨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매출액 3억원 기준으로 매달 15만원의 기장료와 연 조정료 80만원을 포함 해마다 260만원을 세무사에 줬다는 것.
그는 "비싼 감이 들어 다른 세무사에 알아보자 기장료는 10만원, 조정료는 50만원에 해주겠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서 "기존 세무사가 절세를 위해 노력해 준 것은 인정하지만 그래도 바가지를 씌웠다는 느낌이 들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조정료와 기장료에 대해 납득할 만한 근거 기준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동대문구의 Y의원 원장은 "납부 세금보다 조정료가 더 많아 세무사에 요율 근거 기준을 문의하니 바로 20%를 깎아주겠다는 말을 해 지금까지 손해본 느낌이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조정료와 기장료로 문제로 세무사를 바꾸려고 해도 지금까지 내던 세금액이 확 늘지나 않을지 이도 저도 못하는 개원의들이 많을 것이다"며 "인근 세무사의 요율을 어느 정도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