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웅한 교수, 혈액희석 충진액 최소 사용 "세계적인 성과"
국내 의료진이 선천성 심장 기형 환아의 무수혈 수술을 성공해 주목된다.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김웅한 교수팀은 5일 "기능적 단심실 등 선천성 심장병을 앓고 있는 생후 17개월(7.4kg)의 양수현 환아(가명)에게 무수혈 수술 기법을 이용한 교정술을 성공했다"고 밝혔다.
환아가 앓고 있는 기능적 단심실과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 폐동맥 폐쇄 등은 청색증과 호흡 곤란 등으로 수술을 제때 받지 않으면 1개월 내에 사망하는 중증 질환이다.
김 교수는 지난해 3월 조저체중아(1.87kg)로 선천성 심장기형을 안고 태어난 양수현 환아에 대한 대동맥과 폐돔맥 사이에 인조혈관을 연결해 폐동맥을 성장시키는 수술을 시행한 바 있다.
이는 위급 상태를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수술로 완치를 위해서는 정상 심장 구조인 2심방, 2심실로 만드는 '완전 교정술'이 필요했다.
하지만 환아 보호자는 종교적 신념으로 수술 중 수혈을 거부했다.
의료진은 수혈 없이 완전 교정술을 성공하기 위해 수술 중 출혈과 체외 순환시 혈액희석을 최소화하기 위한 첨단기법을 적용했다.
김 교수는 폐동맥판막과 폐동맥 역할을 하는 인공도관 삽입시 발생하는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관에 직접 인공 판막을 제작해 삽입했다.
김웅한 교수는 특히 혈액 희석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된 '충진액 최소화 기법'을 적용했다.
이번 수술에 사용한 충진액량은 110ml로, 보통 환아(8kg)의 심장 수술시 200~250ml 정도의 충진액량이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적은 양이다.
김웅한 교수는 "혈액이 최소한으로 희석되도록 하기 위해 필수적인 충진액 최소화 기법 개발에 노력해 왔다"면서 "이번 사용량은 세계적으로도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수술 성공은 노력의 성과"라고 설명했다.
환아는 지난달 말 수술 후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김웅한 교수팀은 5일 "기능적 단심실 등 선천성 심장병을 앓고 있는 생후 17개월(7.4kg)의 양수현 환아(가명)에게 무수혈 수술 기법을 이용한 교정술을 성공했다"고 밝혔다.
환아가 앓고 있는 기능적 단심실과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 폐동맥 폐쇄 등은 청색증과 호흡 곤란 등으로 수술을 제때 받지 않으면 1개월 내에 사망하는 중증 질환이다.
김 교수는 지난해 3월 조저체중아(1.87kg)로 선천성 심장기형을 안고 태어난 양수현 환아에 대한 대동맥과 폐돔맥 사이에 인조혈관을 연결해 폐동맥을 성장시키는 수술을 시행한 바 있다.
이는 위급 상태를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수술로 완치를 위해서는 정상 심장 구조인 2심방, 2심실로 만드는 '완전 교정술'이 필요했다.
하지만 환아 보호자는 종교적 신념으로 수술 중 수혈을 거부했다.
의료진은 수혈 없이 완전 교정술을 성공하기 위해 수술 중 출혈과 체외 순환시 혈액희석을 최소화하기 위한 첨단기법을 적용했다.
김 교수는 폐동맥판막과 폐동맥 역할을 하는 인공도관 삽입시 발생하는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관에 직접 인공 판막을 제작해 삽입했다.
김웅한 교수는 특히 혈액 희석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된 '충진액 최소화 기법'을 적용했다.
이번 수술에 사용한 충진액량은 110ml로, 보통 환아(8kg)의 심장 수술시 200~250ml 정도의 충진액량이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적은 양이다.
김웅한 교수는 "혈액이 최소한으로 희석되도록 하기 위해 필수적인 충진액 최소화 기법 개발에 노력해 왔다"면서 "이번 사용량은 세계적으로도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수술 성공은 노력의 성과"라고 설명했다.
환아는 지난달 말 수술 후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