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진료비 통계 분석, 재활·영상의학과 정체 뚜렷
전국 의원급 한 곳당 하루 평균 63명의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시과목별로는 이비인후과가 11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일 공개한 '2012년 1분기 진료비 통계지표'를 토대로 <메디칼타임즈>가 외래 내원일수를 전년 동기와 비교분석한 결과이다.
내원일수는 청구명세서에 나와있는 건강보험 환자가 실제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일수로 외래와 입원으로 나눠진다.

2011~2012년 1분기 의원 표시과목별 외래환자 수
분석 결과 지난 1분기 내원일수는 1억 2680만일로, 의원 한 곳당 1일 평균(한달 25일 진료기준) 63명의 외래환자가 내원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6% 증가한 수치다.
표시과목별로는 이비인후과가 11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소아청소년과가 94명, 정형외과 92명, 내과 85명, 신경외과 78명 순이다.
내원일수 증가폭은 요양급여비용과 마찬가지로 신경과가 두드러졌다. 전년 동기대비 15% 증가했다. 흉부외과도 13.6% 늘었다. 이들 진료과 외에 다른 진료과는 한 자리수 증가에 그쳤다.
재활의학과는 하루 평균 62명이 내원해 전년 동기대비 증가폭은 0.5%에 머물렀다.
영상의학과를 찾는 환자 방문수도 전년 대비 1.3% 증가에 그쳤다. 이는 영상의학과 표시과목 의료기관 수가 14% 줄어든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일 공개한 '2012년 1분기 진료비 통계지표'를 토대로 <메디칼타임즈>가 외래 내원일수를 전년 동기와 비교분석한 결과이다.
내원일수는 청구명세서에 나와있는 건강보험 환자가 실제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일수로 외래와 입원으로 나눠진다.

표시과목별로는 이비인후과가 11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소아청소년과가 94명, 정형외과 92명, 내과 85명, 신경외과 78명 순이다.
내원일수 증가폭은 요양급여비용과 마찬가지로 신경과가 두드러졌다. 전년 동기대비 15% 증가했다. 흉부외과도 13.6% 늘었다. 이들 진료과 외에 다른 진료과는 한 자리수 증가에 그쳤다.
재활의학과는 하루 평균 62명이 내원해 전년 동기대비 증가폭은 0.5%에 머물렀다.
영상의학과를 찾는 환자 방문수도 전년 대비 1.3% 증가에 그쳤다. 이는 영상의학과 표시과목 의료기관 수가 14% 줄어든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