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치매관리 대책 발표…분당서울대 중심 전달체계 확립
분당서울대병원을 중심으로 공립노인요양병원에 치매병동이 시범 운영된다.
보건복지부는 29일 "치매환자의 급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과 삶의 질 향상 및 노년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국가 치매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7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및 재가 서비스 확대 등을 포함한 ‘제2차 치매관리 종합대책’(2013~2015년)을 확정했다.
2012년 현재 치매환자는 53만명으로 2008년(42만명)에 비해 26.8% 증가한 상태로 2025년에는 1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치매 관련 총 진료비는 8100억원으로, 1인당 연간 310만원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뇌혈관(204만원)과 심혈관(132만원), 당뇨(59만원), 고혈압(43만원), 관절염(40만원) 등 5대 만성질환 1인당 진료비 보다 많은 수치이다.
2차 계획은 조기발견과 예방강화, 치매 중증도별 맞춤형 치료, 치료관리 인프라 구축, 가족지원 및 사회적 소통 확대 등을 추진과제로 담고 있다.
복지부는 국가건강검진의 치매검사방법 개선과 보건소의 75세 이상 노인 검진 우선관리, 치매환자의 장기요양보험 3등급 기준 완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중앙치매센터인 분당서울대병원을 중심으로 권역(4개소) 및 지역(보건소) 센터 및 공립노인요양병원(70개소) 등의 치매 거점병원 지정 등 치매관리 전달체계를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치매병동 시범사업에서 우수 운영기관 7개소를 대상으로 33억원의 기능보강 등 국고를 지원한다.
더불어 치매 진단 및 치료기술 연구지원을 확대하고, 치매환자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의사, 간호사, 요양보호사 기본교육 강화 및 소수정예 치매전문가 양성도 추진할 예정이다.
최희주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장은 "2차 종합계획은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해 마련했다"면서 "치매환자가 사회와 단절되지 않도록 전문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홍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29일 "치매환자의 급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과 삶의 질 향상 및 노년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국가 치매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7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및 재가 서비스 확대 등을 포함한 ‘제2차 치매관리 종합대책’(2013~2015년)을 확정했다.
2012년 현재 치매환자는 53만명으로 2008년(42만명)에 비해 26.8% 증가한 상태로 2025년에는 1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치매 관련 총 진료비는 8100억원으로, 1인당 연간 310만원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뇌혈관(204만원)과 심혈관(132만원), 당뇨(59만원), 고혈압(43만원), 관절염(40만원) 등 5대 만성질환 1인당 진료비 보다 많은 수치이다.
2차 계획은 조기발견과 예방강화, 치매 중증도별 맞춤형 치료, 치료관리 인프라 구축, 가족지원 및 사회적 소통 확대 등을 추진과제로 담고 있다.
복지부는 국가건강검진의 치매검사방법 개선과 보건소의 75세 이상 노인 검진 우선관리, 치매환자의 장기요양보험 3등급 기준 완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중앙치매센터인 분당서울대병원을 중심으로 권역(4개소) 및 지역(보건소) 센터 및 공립노인요양병원(70개소) 등의 치매 거점병원 지정 등 치매관리 전달체계를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치매병동 시범사업에서 우수 운영기관 7개소를 대상으로 33억원의 기능보강 등 국고를 지원한다.
더불어 치매 진단 및 치료기술 연구지원을 확대하고, 치매환자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의사, 간호사, 요양보호사 기본교육 강화 및 소수정예 치매전문가 양성도 추진할 예정이다.
최희주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장은 "2차 종합계획은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해 마련했다"면서 "치매환자가 사회와 단절되지 않도록 전문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홍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