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아시아 최초 식도암 로봇수술 100례

발행날짜: 2013-09-03 14:10:19
  • 김대준 교수팀, 2006년 시행 이래 8년만의 성과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김대준 교수
세브란스병원이 아시아 최초로 식도암 로봇수술 100례를 기록해 로봇수술 명가로써 위상을 과시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식도암 전문클리닉 김대준 교수팀(흉부외과)은 최근 식도암 로봇수술 100례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아시아 최다 기록이다.

김 교수팀은 지난 2006년 7월 국내 최초로 식도암 로봇수술을 시작해 8년만에 이같은 성과를 이뤄냈다.

식도암 수술은 성대신경 주위에 위치한 림프절을 얼마나 잘 완전 절제하느냐에 성패가 달려있다.

수술 전 식도암이 점막하층에만 국한된 초기 병변으로 판단돼도 실제 수술에 들어가면 림프절로 전이가 된 경우가 30~50%에 이르기 때문이다.

특히 양쪽 성대신경 주위에 위치한 림프절로 전이가 잘 일어나기 때문에 림프절 완전 절제가 식도암 수술의 핵심이다.

하지만 이 수술법은 난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흉, 개복시 수술 후에 폐렴이 잘 오고 사망률도 다른 수술보다 높은 것이 문제였다.

미국에서 재향 군인병원(VA hospital)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식도절제술 환자의 절반에서 합병증이 발생했고, 수술사망률이 약 9.8%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됐다.

특히, 주요 합병증 및 사망의 원인이 폐렴으로 밝혀졌다. 원인은 개흉 수술시 과도한 폐의 압박, 신경의 손상, 기관지 측면의 혈액 순환 차단 등이었다.

하지만 김 교수팀은 이러한 단점을 로봇수술로 보완해 우수한 증례를 남겼다.

김대준 교수는 "로봇수술을 이용해 식도암 수술을 진행하면 신경 및 주위 림프절이 10배 정도 확대돼 좋은 시야를 확보 할 수 있다"며 "또한 사람의 손목관절과 동일한 움직임을 가진 기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림프절을 효율적으로 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식도암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수술 후 14일째 통증점수(1~10점)는 평균 3점으로 낮았으며, 개흉술시 관찰되는 만성 신경성 통증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폐의 압박이 필요없고, 신경 및 혈관들을 최대한 보존하기 때문에 가장 무서운 합병증인 폐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식도암 로봇수술의 큰 장점이다.

김 교수는 "로봇수술을 통해 폐렴 등의 합병증을 줄이면서도 보다 완전한 암 제거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전했다.

병·의원 기사

댓글 0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