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이노 길영준 대표, 시스템 변화 의료전달체계도 영향 전망
황희 분당서울대 교수 "앞서가는 AI기술 장벽 개선 고민할 때"
최근 원격의료 시범사업과 관련 기술을 의료에 어떻게 접목시킬 것인가에 대해서는 찬반 여론이 첨예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기술 발전에 따른 '스마트진료'는 향후 병원 진료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모습이다.
대한병원협회 시도병원협의회와 메디칼타임즈는 공동 주최로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현실로 다가온 스마트진료 병원을 바꾼다' 정책토론회를 열고 스마트진료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분당서울대병원 황희 교수(분당서울대병원 CIO, 최고정보관리책임자)는 '스마트진료가 이끄는 미래의 병원환경' 주제발표를 통해 스마트헬스케어의 현주소와 앞으로 변화할 병원 환경을 제시했다.
황희 교수는 "디지털헬스케어는 원격의료 등 국내에 사회적 논란이 있기도 하지만 보통 그것보다 훨씬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며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분야를 제외하더라도 해야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고 밝혔다.
특히, 황 교수는 의료와 AI의 접목에 대한 의견을 밝히며 여러 우려를 불식시켰다. 그는 "아직도 AI가 발전하면 의사가 없어지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받지만 AI가 놓치는 부분과 사람이 놓치는 부분이 달라 오히려 AI의 도움을 받아 실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인공지능의 강점을 제시했다.
그는 "이밖에도 AI를 하면 큰 병원만 좋다는 우려 또한 소위 빅5에는 AI보다 더 민감하게 잘 보는 의사가 많아 대형 대학병원보다는 중소병원이나 개발도상국에서 역할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황 교수는 AI기술의 활용에 대해 해외와 달리 국내 활용이 어려운 점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황 교수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웰니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중국의 경우 스마트 헬스케어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등 적극적인 활용에 나서고 있다.
그는 "우리나라가 AI기술은 앞서가고 있지만 현장까지는 장벽이 있고 얼마나 빨리 잘 확산시키고 정립시킬 것인가 고민이 필요한 단계라고 본다"며 "합의점을 찾지 못했지만 지금이라도 논의를 시작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황 교수는 "개인적으로 만약 10개의 기술이 있다면 그 중 임팩트가 있는 것은 1~2개만이 남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장밋빛 미래만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어떠한 기술이 나와도 몇 년이 지나도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는 공정성이 담보돼야 디지털 헬스케어가 발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ICT분야 1호 규제샌드박스 대상인 휴이노(심전도웨어러블 스마트위치업체)의 길영준 대표는 산업적 활용성에 주목했다.
길영준 대표는 "현재 많은 글로벌 회사들이 전망하기로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이 보편화되고 다가오는 현실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며 "지금은 의식적인 환경에서 이용되는 제약이 있지만 기술 도입으로 환자뿐만 아니라 의사, 병원 등에서 풍부한 의료서비스 제공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길 대표가 이러한 기술 활용의 대표적인 사례로 든 것이 패치를 통해 심전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선보인 미국의 iRhyhm.
길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iRhyhm의 ZioXT는 2016년 미국 시장 진입 후 10%의 시장을 확보한 이후에 2년이 지난 2018년은 기존방식인 'Holter Event&MCT' 시장을 밀어내고 84%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그는 "서울대병원을 기준으로 홀터심전도를 측정하려면 18주를 대기해야 가능했다"며 "미국 심전도 측정 시장이 단기간 내 개편된 것은 환자들이 이러한 비효율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 욕구가 있었다는 의미다"고 밝혔다.
결국 이러한 측면에서 접근했을 때도 한국에도 관련 산업이 빠르게 자리 잡을 것이라는 게 길 대표의 전망이다.
길 대표는 "홀터심전도 측정은 여러 비용적 측면에서 1차 병원에서는 부담하기가 힘들지만 패치를 통한 심전도 측정 기술이 도입된다면 1차 병원에서도 환자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적립이 가능하고 3차병원에 몰리는 환자도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한병원협회 시도병원협의회 정영진 회장은 개회사에서 여러 규제에 원격의료가 가로막힌 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전했다.
정 회장은 "의료산업발전을 견인하고 환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원격진료부분은 세계선두라는 가능성을 선점했었다"며 "그럼에도 거의 10년간 성장이 지지부진한 채 당사자들의 불만과 관련규제에 가로막혀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정 회장은 "병원의료산업이 위기이자 기회의 기로에서 미래의료는 헬스케어 전반에 변화에 변화와 생존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며 "앞으로 변화될 진료환경과 현시점에서의 극복해야할 현안 등에 대해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대한병원협회 시도병원협의회와 메디칼타임즈는 공동 주최로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현실로 다가온 스마트진료 병원을 바꾼다' 정책토론회를 열고 스마트진료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분당서울대병원 황희 교수(분당서울대병원 CIO, 최고정보관리책임자)는 '스마트진료가 이끄는 미래의 병원환경' 주제발표를 통해 스마트헬스케어의 현주소와 앞으로 변화할 병원 환경을 제시했다.
황희 교수는 "디지털헬스케어는 원격의료 등 국내에 사회적 논란이 있기도 하지만 보통 그것보다 훨씬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며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분야를 제외하더라도 해야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고 밝혔다.
특히, 황 교수는 의료와 AI의 접목에 대한 의견을 밝히며 여러 우려를 불식시켰다. 그는 "아직도 AI가 발전하면 의사가 없어지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받지만 AI가 놓치는 부분과 사람이 놓치는 부분이 달라 오히려 AI의 도움을 받아 실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인공지능의 강점을 제시했다.
그는 "이밖에도 AI를 하면 큰 병원만 좋다는 우려 또한 소위 빅5에는 AI보다 더 민감하게 잘 보는 의사가 많아 대형 대학병원보다는 중소병원이나 개발도상국에서 역할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황 교수는 AI기술의 활용에 대해 해외와 달리 국내 활용이 어려운 점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황 교수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웰니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중국의 경우 스마트 헬스케어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등 적극적인 활용에 나서고 있다.
그는 "우리나라가 AI기술은 앞서가고 있지만 현장까지는 장벽이 있고 얼마나 빨리 잘 확산시키고 정립시킬 것인가 고민이 필요한 단계라고 본다"며 "합의점을 찾지 못했지만 지금이라도 논의를 시작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황 교수는 "개인적으로 만약 10개의 기술이 있다면 그 중 임팩트가 있는 것은 1~2개만이 남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장밋빛 미래만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어떠한 기술이 나와도 몇 년이 지나도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는 공정성이 담보돼야 디지털 헬스케어가 발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ICT분야 1호 규제샌드박스 대상인 휴이노(심전도웨어러블 스마트위치업체)의 길영준 대표는 산업적 활용성에 주목했다.
길영준 대표는 "현재 많은 글로벌 회사들이 전망하기로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이 보편화되고 다가오는 현실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며 "지금은 의식적인 환경에서 이용되는 제약이 있지만 기술 도입으로 환자뿐만 아니라 의사, 병원 등에서 풍부한 의료서비스 제공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길 대표가 이러한 기술 활용의 대표적인 사례로 든 것이 패치를 통해 심전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선보인 미국의 iRhyhm.
길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iRhyhm의 ZioXT는 2016년 미국 시장 진입 후 10%의 시장을 확보한 이후에 2년이 지난 2018년은 기존방식인 'Holter Event&MCT' 시장을 밀어내고 84%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그는 "서울대병원을 기준으로 홀터심전도를 측정하려면 18주를 대기해야 가능했다"며 "미국 심전도 측정 시장이 단기간 내 개편된 것은 환자들이 이러한 비효율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 욕구가 있었다는 의미다"고 밝혔다.
결국 이러한 측면에서 접근했을 때도 한국에도 관련 산업이 빠르게 자리 잡을 것이라는 게 길 대표의 전망이다.
길 대표는 "홀터심전도 측정은 여러 비용적 측면에서 1차 병원에서는 부담하기가 힘들지만 패치를 통한 심전도 측정 기술이 도입된다면 1차 병원에서도 환자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적립이 가능하고 3차병원에 몰리는 환자도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한병원협회 시도병원협의회 정영진 회장은 개회사에서 여러 규제에 원격의료가 가로막힌 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전했다.
정 회장은 "의료산업발전을 견인하고 환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원격진료부분은 세계선두라는 가능성을 선점했었다"며 "그럼에도 거의 10년간 성장이 지지부진한 채 당사자들의 불만과 관련규제에 가로막혀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정 회장은 "병원의료산업이 위기이자 기회의 기로에서 미래의료는 헬스케어 전반에 변화에 변화와 생존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며 "앞으로 변화될 진료환경과 현시점에서의 극복해야할 현안 등에 대해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