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김포시 2만7000명 대상…사업 참여 의사 기준 엄격
위대장내시경학회, 시범사업 뒷받침할 자체 다기관 연구도 진행
대장 내시경의 국가 암검진 도입을 주요 목적으로 한 시범사업이 7월부터 본격 시행됐다. 경기도 고양시와 김포시에서 이뤄지며 2020년 12월까지 진행된다.
대한위대장내시경학회는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했다.
대장내시경 검사 대상자는 약 2만7000명이다. 대장내시경 16만원, 조직검사는 6만9200원이다. 진정내시경 비용과 용종절제술 비용은 환자가 부담해야 한다.
시범사업에는 36개 의료기관이 참여하는데 그 기준이 까다롭다. 위대장내시경학회를 비롯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대장항문학회에서 하고 있는 대장내시경 인증의 자격을 받아야 하고 최근 2년간 300건 이상의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했다는 이력이 있어야 한다.
장웅기 자문위원은 "대장내시경 인증의 자격을 받더라도 2년 사이 300건 이상의 검사 건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1년차 전임의나 신규 개원의는 할 수 없다"며 "합병증 발생 때문에 의료인 자격에 특히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대학병원도 반갑지 않은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일부 대규모 기관으로 검사가 몰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의사 한 명당 1일 대장내시경 건수를 5건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라며 "물론 권고사항이긴 하지만 5건을 넘으면 모니터링을 통해 질 관리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시범사업 중 사망이나 천공, 입원이 필요한 출혈 등의 중대한 합병증 발생률이 0.4%를 넘어가면 모니터링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에 시범사업 조기 종료를 건의할 수 있다.
장 위원은 "올해 하반기 목표는 4000명인데 적어도 50~60% 이상은 돼야 한다"라며 "참여율이 저조하면 시범사업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진다. 이번 사업을 통해 대장 내시경의 국가 암검진 도입에 대한 디베이트는 종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장 내시경 유용성 근거 마련 위한 다기관 연구 착수"
학회는 더불어 개원가에서 대장 내시경의 유용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에 착수했다.
위대장내시경학회 대장종양연구회는 '1차 의료기관에서 발견된 대장 용종의 전국 유병률 및 임상적 양상에 대한 고찰: 후향적 의무 기록 분석을 통한 다기관 공동연구(연구책임자 박현철)'를 진행한다.
연구 기간은 1년 정도이며 대상자 선정은 통계 전문가 조언을 구해 최소 1만명으로 정했다. 시도별로 연구 대상자수를 정하다 보니 서울은 2000명, 경기도 2700명, 제주도 130명 등 편차가 있다.
박현철 회장은 "1차 의료기관에서 대장 내시경 현황을 세부적으로 알 수 있는 연구가 없어서 학회 차원에서 대장암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만들기로 했다"며 "대장 내시경 시범사업 결과가 나오면 개원가 실정도 나오는 데다 참고자료를 더하자는 의미에서 연구를 시작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우리나라 대장암 선별검사 권고안에 따르면 성인은 50세 이후부터 5~10년마다 검사를 시행토록 하고 있는데 외국 일부 연구를 보면 40세 이사 젊은 연령층에서도 예후가 나쁜 경우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른 나이에 대장내시경을 통해 암을 발견하는 것도 중요하다. 50세를 기점으로 대장용종군 비교를 통해 선별검사 시작연령에 대한 재논의 여부의 근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위대장내시경학회는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했다.
대장내시경 검사 대상자는 약 2만7000명이다. 대장내시경 16만원, 조직검사는 6만9200원이다. 진정내시경 비용과 용종절제술 비용은 환자가 부담해야 한다.
시범사업에는 36개 의료기관이 참여하는데 그 기준이 까다롭다. 위대장내시경학회를 비롯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대장항문학회에서 하고 있는 대장내시경 인증의 자격을 받아야 하고 최근 2년간 300건 이상의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했다는 이력이 있어야 한다.
장웅기 자문위원은 "대장내시경 인증의 자격을 받더라도 2년 사이 300건 이상의 검사 건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1년차 전임의나 신규 개원의는 할 수 없다"며 "합병증 발생 때문에 의료인 자격에 특히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대학병원도 반갑지 않은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일부 대규모 기관으로 검사가 몰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의사 한 명당 1일 대장내시경 건수를 5건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라며 "물론 권고사항이긴 하지만 5건을 넘으면 모니터링을 통해 질 관리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시범사업 중 사망이나 천공, 입원이 필요한 출혈 등의 중대한 합병증 발생률이 0.4%를 넘어가면 모니터링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에 시범사업 조기 종료를 건의할 수 있다.
장 위원은 "올해 하반기 목표는 4000명인데 적어도 50~60% 이상은 돼야 한다"라며 "참여율이 저조하면 시범사업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진다. 이번 사업을 통해 대장 내시경의 국가 암검진 도입에 대한 디베이트는 종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장 내시경 유용성 근거 마련 위한 다기관 연구 착수"
학회는 더불어 개원가에서 대장 내시경의 유용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에 착수했다.
위대장내시경학회 대장종양연구회는 '1차 의료기관에서 발견된 대장 용종의 전국 유병률 및 임상적 양상에 대한 고찰: 후향적 의무 기록 분석을 통한 다기관 공동연구(연구책임자 박현철)'를 진행한다.
연구 기간은 1년 정도이며 대상자 선정은 통계 전문가 조언을 구해 최소 1만명으로 정했다. 시도별로 연구 대상자수를 정하다 보니 서울은 2000명, 경기도 2700명, 제주도 130명 등 편차가 있다.
박현철 회장은 "1차 의료기관에서 대장 내시경 현황을 세부적으로 알 수 있는 연구가 없어서 학회 차원에서 대장암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만들기로 했다"며 "대장 내시경 시범사업 결과가 나오면 개원가 실정도 나오는 데다 참고자료를 더하자는 의미에서 연구를 시작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우리나라 대장암 선별검사 권고안에 따르면 성인은 50세 이후부터 5~10년마다 검사를 시행토록 하고 있는데 외국 일부 연구를 보면 40세 이사 젊은 연령층에서도 예후가 나쁜 경우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른 나이에 대장내시경을 통해 암을 발견하는 것도 중요하다. 50세를 기점으로 대장용종군 비교를 통해 선별검사 시작연령에 대한 재논의 여부의 근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