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부 3년 통계분석... 대구, 대전 다빈도 지역 분류
27일 보건복지부가 1999년부터 2001년까지 국가 암발생 통계 결과를 산출한 결과 3년간 연도별 암발생 건수는 99년 10만889건, 2000년 10만467건, 2001년 10만 9,359건이었다.
암 발생 순위는 남자의 경우 위암이 10만명당 1만3,976명(발생률 58.6%)으로 가장 많았으며 폐암 1만49명(42.1%), 간암 1만2명(41.9%), 대장암 5,784명(24.2%) 등의 순이었다.
여자 역시 위암이 10만명당 7,294명(30.8%)으로 가장 많았고, 유방암 6,083명(25.7%), 대장암 4,647명(19.6%), 자궁경부암 4,361명(18.4%), 폐암 3,565명(15.1%) 등이 뒤를 이었다.
같은 환자에서 2개 이상 암종(다중원발암)이 발생한 경우는 남자가 2,881명(1.7%)이었으며 여자는 1,545명(1.2%)으로 전체 암발생자의 1.4%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수명까지 생존할 경우 남자가 3명중 1명(29%), 여자가 5명중 1명(20.2%)이 암에 걸릴 확률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도 암 발생의 차이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0세에서 14세까지는 남여 모두 백혈병이 가장 많이 발병했고, 15~34세까지는 위암(남자), 갑상선암(여자) 35~64세까지는 위암(남자), 유방암(여자), 65세이상은 폐암(남자), 위암(여자)의 발생률이 높았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지역별로 암 발생률에 차이가 있어 원인 규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남자는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인천, 경남의 암 발생률이 높았으며, 여자는 서울,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경기, 부산에서 암 발생률이 높았다.
이번 조사와 관련 복지부는 “OECD 국가들이 많이 발생하는 암종이 남자는 전립선암, 대장암, 폐암, 여자는 유방암, 대장암, 폐암 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역시 대장암, 전립선암, 유방암의 증가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