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한의원, "산모 마음을 움직여라" 경쟁

발행날짜: 2009-08-13 12:23:30
  • 주1~2회 산후조리원 방문 무료진료…환자유치 효과 기대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산후조리원에서 한의사가 산모의 건강상태를 살피고 있다.
최근 경영이 어려워진 소아과, 한의원들이 산후조리원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환심사기에 나서고 있다.

지금까지 출산 후 찾아오는 산모 및 유아를 대상으로 진료를 했다면, 최근 들어서는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해 환자유치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달라졌다.

실제로 A소아과의원 이모 원장은 인근의 산후조리원과 제휴를 맺고 매주 1~2회 산후조리원을 찾아 신생아를 진찰하는 등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과거 산모들은 분만 산부인과에서 신생아 예방접종을 했지만 최근에는 거리가 먼 분만병원 보다는 집에서 가까운 소아과를 찾는 경우가 많다"며 "출산 후 집에서 가까운 산후조리원에 있던 산모들은 이후에도 계속해서 찾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K한의원네트워크는 각 지점별로 인근의 산후조리원과 제휴를 맺고 주 2~3회 산후조리원을 찾아 산모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산모별로 맞춤관리를 시작했다.

한의원 또한 향후 산후비만 및 탈모, 산후보양 등을 사전에 알려줌으로써 산후조리원 이후 자연스럽게 한의원을 찾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

이처럼 의료기관을 벗어난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의료법 위반 소지가 있으므로 진료행위에는 제한이 있지만 산모들과 안면을 익히기 때문에 향후 환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상당한 메리트가 있다.

이에 대한 산모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최근 한의원과 제휴를 맺은 산후조리원 관계자는 "이제 갓 출산을 한 산모들은 외출이 힘든데 한의사가 직접 찾아와서 각 산모별로 체질별로 맞춤관리를 해줘서 산모들 사이에서 반응이 좋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개원컨설팅업체 관계자는 "개원의 입장에서는 미래의 환자를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산후조리원에서는 소아과 전문의 혹은 한의사의 진료제공을 홍보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서로 필요성을 느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특히 일부 산후조리원에서는 옵션상품으로 한약이 포함하는 등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자칫 미끼상품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병·의원 기사

댓글 6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12 2009.08.14 13:54:16

    출장마사지랑 머가 다를까
    ㅋㅋㅋ

  • 미친년 2009.08.14 09:13:59

    ㅋㅋ 너의마음을 바꿔서,엎어버리는것이 평생편한데..
    미친짓거리하믄 앞으로 더나아지나? 아니다일껄.10년전과 지금 진료수가가 똑같은거는 아니? 아니다 지금도 쪼금 적더라.수가비교자료를 보고 덤벼라. 그런데 이나라에서 무엇을 더바라느냐..ㅋㅋ 의료를 멈추어 세상을 바꾸는것이 더빠르다.

  • 직시의 2009.08.13 18:16:24

    한의사도 의사입니다.
    정부 언론 국민 모두 한의 + 양의 + 치의 + 약사 를 통칭해서 의사라 부릅니다. 앞으로 정부에서 1인당 의사수니 하면서 OECD 어쩌고 하는 통계를 발표할 때 한의사도 의사에 포함해서 발표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모두가 국민 건강을 위해 힘쓰시는 훌륭한 분들입니다.

  • anti-한방Ab 2009.08.13 16:09:30

    한방사가 충진기 쓸 줄은 아냐?
    꼴에 좋은 건 알아가지고 전자청진기? 소리 들을 줄도 모르는 게 개폼은...

    전자 청진기로 맥박수가 체크할려고?

  • ㅁㄴㄱ 2009.08.13 14:54:09

    의사들 보아라
    우리 약사들 리베이트로 최소 5% 먹는다.

    도매에서 약 받을 때 5% 않 주면 약 않 받아 버린다.

    도매에서 않 받고 제약회사에서 약 받아도 최소 5%는 주거든

    많게는 10%에서 30% 주는 것도 있다.

    이제 너희 의사들 끝나는 날도 얼마 않 남았다.

    우리는 또 매약도 있다.

    그리고 환자가 2달 처방 받아도 환자가 돈이 없다면서

    1달 치만 가져가면 건강보험으로 2달치 청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물론 그 약도 절약해서 다른 환자에게 줄수 있으니 따따블 이익이다.

    또 너희 의사들이 아무리 정품약 처방해도

    우리가 모양 비슷한 카피약으로 환자에게 주면 된다.

    이런 약일수록 원가 500원 짜리 약을 원가 300원으로 줄수 있으니

    1알당 200원씩 우리가 더 먹을수 있다.

    그것만 해도 30일 치면 6,000원이고 60일치면 12,000이다.

    또 이런 약일수록 도매상에서 챙겨 주는게 더 많거든.

    절대 환자들은 알수가 없다.

    그럼 우리는 정품으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고

    정품 대신 더 가격이 싼 카피약 쓰니 그 차액 만큼 더 챙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환자가 2달치 처방 받고 오면 너무나 좋다.

    그리고 너희 의사들이 100mg이나 80mg 짜리 처방해도

    우리가 50mg이나 40mg 으로 바꾸어 줘 버리면 된다.

    환자가 뭘 알겠어.

    그럼 우리는 또 처방전 나온 대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을 수 있고

    환자들에게 100mg이나 80mg이라고 하면서 약값을 더 받을 수도 있다.

    의사들 너희들 이제 끝났다

  • 이런 2009.08.13 13:25:05

    의사 흉내내는 한방사
    왠 청진기??? 꼴갑을 떤다... 뭔사기를 칠려고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