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 세미나서 제기…"혈압강하제 다처방, 과잉처방 아냐"
심평원이 올해부터 추진하는 '고혈압 적정성 평가'에 대해 고혈압 치료를 담당하는 일선 전문가들이 거부감을 드러냈다. 적정성 평가의 목적뿐 아니라 평가지표, 연구자료의 신뢰성 등도 문제삼았다.
대한고혈압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6일 열린 '한국인의 고혈압 관리 양상과 대책'을 주제로 합동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심평원은 고혈압 적적성 평가를 위해 수행한 고혈압 환자의 혈압강하제 처방양상과 의료이용행태 등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연구결과는 고혈압 신환자에 처방되는 혈압강하제 '칼슘채널차단제'(51.6%), '이뇨제'(29.84%), 'ARB'(22.89%)순으로 나타났는데, 대형병원일수록 ARB 처방률이 높았다.
또 신환자 처방에 포함된 고혈압약제 성분은 평균 1.4개였으며, 처방당 혈압강하제 평균 투약일수는 평균 19.2일이었다.
혈압강하제 동일 성분군 중복처방률은 1.20±2.4%, 혈압강하제가 4성분 이상 처방되는 비율은 1.88±2.6%, 혈압강하제 2종 처방 시 권장되지 않은 병용은 1.9±3.5% 등으로 나타났다 .
세미나에 참석한 고혈압 임상 전문가들은 심평원 이번 연구의 의미보다는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자칫 의료계에 부담이 되는 정책으로 이어지지 않을지 경계감을 드러냈다.
한양의대 김순길 교수는 "이뇨제를 쓰면 경제적이지만, 환자 개인을 보면 CCB아니면 조절이 안되는 사람, 4~5개를 써야 안정되는 사람이 있다"면서 "이를 일반적 기준으로 평가해서 관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2004년 고혈압 진료지침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는 것도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의대 김철호 교수는 "의사들이 처방과정에서 동반질환을 코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심평원 연구의 기본데이터의 신뢰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그러면서 "정부의 정책이 잘 치료하는 의사와 잘 치료받는 환자에게 이익을 주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면서 인센티브 제공을 주장했다.
의사협회 이재호 이사도 "고혈압약 적정 처방에 대한 인세티브가 없다"면서 "합당한 치료가 될 경우 수가 인센티브 제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혈압측정에 대한 외래 수가 신설의 필요성도 지적했다.
이 이사는 또 "개원가에서 이뇨제 처방이 많은 것은 급여환자 등 경제적 이유가 반영된 것이지 특별히 선호하는 것이 아니다"면서 "심평원의 고혈압 평가 지표들이 의학적인 것보다 재정보호가 우선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울산의대 이상일 교수는 "심평원 평가가 개별 나무, 잎, 가지를 보는데는 적절하지 않지만 국민 전체라는 숲을 보는데에는 무리가 없다"면서 "지표에 대해 의료기관간 변이가 크다면 개선할 점이 있다는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고혈압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6일 열린 '한국인의 고혈압 관리 양상과 대책'을 주제로 합동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심평원은 고혈압 적적성 평가를 위해 수행한 고혈압 환자의 혈압강하제 처방양상과 의료이용행태 등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연구결과는 고혈압 신환자에 처방되는 혈압강하제 '칼슘채널차단제'(51.6%), '이뇨제'(29.84%), 'ARB'(22.89%)순으로 나타났는데, 대형병원일수록 ARB 처방률이 높았다.
또 신환자 처방에 포함된 고혈압약제 성분은 평균 1.4개였으며, 처방당 혈압강하제 평균 투약일수는 평균 19.2일이었다.
혈압강하제 동일 성분군 중복처방률은 1.20±2.4%, 혈압강하제가 4성분 이상 처방되는 비율은 1.88±2.6%, 혈압강하제 2종 처방 시 권장되지 않은 병용은 1.9±3.5% 등으로 나타났다 .
세미나에 참석한 고혈압 임상 전문가들은 심평원 이번 연구의 의미보다는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자칫 의료계에 부담이 되는 정책으로 이어지지 않을지 경계감을 드러냈다.
한양의대 김순길 교수는 "이뇨제를 쓰면 경제적이지만, 환자 개인을 보면 CCB아니면 조절이 안되는 사람, 4~5개를 써야 안정되는 사람이 있다"면서 "이를 일반적 기준으로 평가해서 관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2004년 고혈압 진료지침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는 것도 부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의대 김철호 교수는 "의사들이 처방과정에서 동반질환을 코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심평원 연구의 기본데이터의 신뢰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그러면서 "정부의 정책이 잘 치료하는 의사와 잘 치료받는 환자에게 이익을 주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면서 인센티브 제공을 주장했다.
의사협회 이재호 이사도 "고혈압약 적정 처방에 대한 인세티브가 없다"면서 "합당한 치료가 될 경우 수가 인센티브 제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혈압측정에 대한 외래 수가 신설의 필요성도 지적했다.
이 이사는 또 "개원가에서 이뇨제 처방이 많은 것은 급여환자 등 경제적 이유가 반영된 것이지 특별히 선호하는 것이 아니다"면서 "심평원의 고혈압 평가 지표들이 의학적인 것보다 재정보호가 우선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울산의대 이상일 교수는 "심평원 평가가 개별 나무, 잎, 가지를 보는데는 적절하지 않지만 국민 전체라는 숲을 보는데에는 무리가 없다"면서 "지표에 대해 의료기관간 변이가 크다면 개선할 점이 있다는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