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원외처방시장, 중외, 유한, 대웅, 한미 역신장
쌍벌제 도입에 적극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의료계 표적 제약사로 지목받고 있는 제약사들이 5월 원외처방시장에서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여 그 원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외, 유한, 대웅, 한미 등 4개사는 역신장했고, 동아는 한 자리수 성장에 그쳤다. 모두 '유한안동대', '한중일동생'으로 불리는 쌍벌제 5적에 포함된 기업들이다.
반면 종근당은 홀로 성장세를 보이며, 대조를 이뤘다.

상위 주요제약사 5월 원외처방조제액 현황
16일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에 따르면, 중외, 유한, 대웅, 한미 등 4개사의 5월 원외처방조제액은 작년 같은 기간과 견줘 역신장했다.
중외제약은 100억원의 원외처방액으로 전년동월대비 13.3%가 빠지며, 감소폭이 가장 컸다.
제네릭 경쟁에 직면한 '가나톤'(-33.6%)의 감소세가 가파르고, '리바로'(-4.1%) 역시 올초 추가 약가 인하(기등재약 목록정비) 이후 부진한 모습을 보인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레바넥스'(-30.6%), '안플라그'(-27.9%) 등의 주력품목이 30% 내외로 감소한 유한양행도 211억원의 원외처방액을 기록, 전년동월대비 5.8% 줄었다.
대웅제약(347억원)과 한미약품(328억원) 역시 전년동월대비 각각 3.8%, 1.6% 원외처방액이 줄었다. 대웅제약은 '올메텍'(-4.1%)이, 한미약품은 '아모디핀'(-21.4%)이 부진했다.
업계 부동의 1위 동아제약(347억원) 역시 6.7% 늘어나는데 그쳤다.

종근당의 선전을 이끌고 있는 '살로탄정'
반면 종근당은 불황이 없었다.
이 회사는 5월 전년동월대비 17% 증가한 250억원의 원외처방액으로, 상위 업체 중 증가율 1위를 차지했다. 두 자리수 증가율은 지난 2008년 11월 이후 계속되고 있다.
A증권사 애널리스트는 16일 "1위 품목인 '딜라트렌'과 '살로탄', '리피로우', '애니디핀' 등 제네릭 3인방이 성장세를 든든하게 받쳐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외, 유한, 대웅, 한미 등 4개사는 역신장했고, 동아는 한 자리수 성장에 그쳤다. 모두 '유한안동대', '한중일동생'으로 불리는 쌍벌제 5적에 포함된 기업들이다.
반면 종근당은 홀로 성장세를 보이며, 대조를 이뤘다.

중외제약은 100억원의 원외처방액으로 전년동월대비 13.3%가 빠지며, 감소폭이 가장 컸다.
제네릭 경쟁에 직면한 '가나톤'(-33.6%)의 감소세가 가파르고, '리바로'(-4.1%) 역시 올초 추가 약가 인하(기등재약 목록정비) 이후 부진한 모습을 보인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레바넥스'(-30.6%), '안플라그'(-27.9%) 등의 주력품목이 30% 내외로 감소한 유한양행도 211억원의 원외처방액을 기록, 전년동월대비 5.8% 줄었다.
대웅제약(347억원)과 한미약품(328억원) 역시 전년동월대비 각각 3.8%, 1.6% 원외처방액이 줄었다. 대웅제약은 '올메텍'(-4.1%)이, 한미약품은 '아모디핀'(-21.4%)이 부진했다.
업계 부동의 1위 동아제약(347억원) 역시 6.7%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 회사는 5월 전년동월대비 17% 증가한 250억원의 원외처방액으로, 상위 업체 중 증가율 1위를 차지했다. 두 자리수 증가율은 지난 2008년 11월 이후 계속되고 있다.
A증권사 애널리스트는 16일 "1위 품목인 '딜라트렌'과 '살로탄', '리피로우', '애니디핀' 등 제네릭 3인방이 성장세를 든든하게 받쳐주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