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한미·유한·대웅·중외 등 5개사 3개월 이상 역신장
리베이트 쌍벌제 법안 통과 직후인 5월부터 종근당을 뺀 최상위 제약사들의 처방 실적이 비틀대고 있다.
작년 매출액 기준 3~6위 기업인 한미약품, 유한양행, 대웅제약, 중외제약 등 4개사는 월별 처방액이 전년동월대비 모조리 감소했고, 업계 부동의 1위 동아제약 역시 5월을 제외하곤 3개월 연속 역신장했다.
16일 <메디칼타임즈>가 쌍벌제 직후인 5월부터 8월까지 주요 상위제약사 6곳을 분석한 결과다. 백신·혈액 제제 등에 주력해 처방액이 낮은 녹십자는 제외했다.

쌍벌제 이후 5~8월, 주요 상위사 처방액 현황(단위: 억원, %) *증감률=전년동월대비.
분석 결과, 중외제약은 4개월 간 월별 처방액이 전년동월대비 평균 15.98% 줄며 가장 감소폭이 컸다.
쌍벌제 여파와 더불어 주요 품목의 전체적인 부진과 제네릭 경쟁에 직면한 위장관운동촉진제 '가나톤'의 감소세가 심화됐기 때문이다. 8월의 '가나톤' 월별 처방액 감소율은 전년동월대비 -42.4%에 달했다.
유한양행동 좀처럼 저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4개월 평균 10.78%의 감소폭을 보인 것.
주요 원인은 항궤양제 특허 신약 '레바넥스'가 지난 2008년 11월부터 시작된 감소세와 상위 품목 고지혈증약 '아토르바' 및 항혈전제 '안플라그'의 5개월 연속 연신장이다.
대웅제약(-8.58%)과 한미약품(-7.73%)은 4개월 동안 8% 안팎으로 처방액이 감소했고, 동아제약은 -3.20% 줄었다.
반면 종근당은 매월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고공행진을 거듭했다. 4개월 평균 성장폭은 14.58%.
작년 매출액 기준 3~6위 기업인 한미약품, 유한양행, 대웅제약, 중외제약 등 4개사는 월별 처방액이 전년동월대비 모조리 감소했고, 업계 부동의 1위 동아제약 역시 5월을 제외하곤 3개월 연속 역신장했다.
16일 <메디칼타임즈>가 쌍벌제 직후인 5월부터 8월까지 주요 상위제약사 6곳을 분석한 결과다. 백신·혈액 제제 등에 주력해 처방액이 낮은 녹십자는 제외했다.

쌍벌제 여파와 더불어 주요 품목의 전체적인 부진과 제네릭 경쟁에 직면한 위장관운동촉진제 '가나톤'의 감소세가 심화됐기 때문이다. 8월의 '가나톤' 월별 처방액 감소율은 전년동월대비 -42.4%에 달했다.
유한양행동 좀처럼 저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4개월 평균 10.78%의 감소폭을 보인 것.
주요 원인은 항궤양제 특허 신약 '레바넥스'가 지난 2008년 11월부터 시작된 감소세와 상위 품목 고지혈증약 '아토르바' 및 항혈전제 '안플라그'의 5개월 연속 연신장이다.
대웅제약(-8.58%)과 한미약품(-7.73%)은 4개월 동안 8% 안팎으로 처방액이 감소했고, 동아제약은 -3.20% 줄었다.
반면 종근당은 매월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고공행진을 거듭했다. 4개월 평균 성장폭은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