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 매출, 개발비의 17배…나머지 국산신약 부진
국내 유일의 천연물 신약 2종 스티렌과 조인스가 총개발비의 17배에 달하는 매출액(누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들 품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산 신약들은 시판일자에 차이가 있지만, 본전(개발비)도 못 찾은 채 시장에서 외면받았다.
30일 <메디칼타임즈>는 보건복지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내 신약개발 현황 및 복지부 지원 신약 매출액' 자료를 재가공했다.
분석 품목은 선플라주, EGF외용액, 조인스, 큐록신, 스티렌, 캄토벨, 자이데나, 레보비르, 엠빅스, 놀텍 등 10개 약물이며, 총매출액은 출시후 올 상반기까지의 기록이다.
분석 결과, 조인스와 스티렌은 총개발비의 17배에 달하는 매출을 시장에서 뽑아냈다. 두 약물 모두 지난 2002년 출시됐다.
조인스는 개발비 60억원을 들여 1016억7000만원을, 스티렌은 180억원을 투자해 3028억7000만원을 벌여들었다.
2005년 12월에 출시된 자이데나의 성적도 좋았다. 총개발비 200억원을 들여 614억5000만원의 매출을 올린 것. 최근 5년간 나온 신약 중 가장 좋은 성적이다.
반면 나머지 신약들의 성적은 비참했다. 본전(개발비)도 찾지 못한 약물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EGF외용액과 캄토벨은 출시일이 각각 9년, 6년이 지났지만 아직 개발비도 벌어들이지 못했다.
각각 50억과 150억원을 개발비로 썼지만, 벌어들인 매출액은 각각 48억6000만원과 141억1000만원에 그쳤다.
레보비르, 엠빅스도 시장에 나온지 3~4년이 흘렀지만 아직 개발비의 절반도 뽑아내지 못했다. 놀텍도 출시 6개월이 지났지만, 10억원 가량의 매출액에 불과했다.
국내 모 상위 제약사 관계자는 "힘들게 신약을 개발했지만 여지껏 벌어들인 매출은 총개발비에도 못 미치는 신약들이 수두룩하다"며 "출시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국산 신약의 경쟁력은 아직도 멀어보인다"고 자조섞인 푸념을 했다.
반면 이들 품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산 신약들은 시판일자에 차이가 있지만, 본전(개발비)도 못 찾은 채 시장에서 외면받았다.
30일 <메디칼타임즈>는 보건복지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내 신약개발 현황 및 복지부 지원 신약 매출액' 자료를 재가공했다.
분석 품목은 선플라주, EGF외용액, 조인스, 큐록신, 스티렌, 캄토벨, 자이데나, 레보비르, 엠빅스, 놀텍 등 10개 약물이며, 총매출액은 출시후 올 상반기까지의 기록이다.
분석 결과, 조인스와 스티렌은 총개발비의 17배에 달하는 매출을 시장에서 뽑아냈다. 두 약물 모두 지난 2002년 출시됐다.
조인스는 개발비 60억원을 들여 1016억7000만원을, 스티렌은 180억원을 투자해 3028억7000만원을 벌여들었다.
2005년 12월에 출시된 자이데나의 성적도 좋았다. 총개발비 200억원을 들여 614억5000만원의 매출을 올린 것. 최근 5년간 나온 신약 중 가장 좋은 성적이다.
반면 나머지 신약들의 성적은 비참했다. 본전(개발비)도 찾지 못한 약물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EGF외용액과 캄토벨은 출시일이 각각 9년, 6년이 지났지만 아직 개발비도 벌어들이지 못했다.
각각 50억과 150억원을 개발비로 썼지만, 벌어들인 매출액은 각각 48억6000만원과 141억1000만원에 그쳤다.
레보비르, 엠빅스도 시장에 나온지 3~4년이 흘렀지만 아직 개발비의 절반도 뽑아내지 못했다. 놀텍도 출시 6개월이 지났지만, 10억원 가량의 매출액에 불과했다.
국내 모 상위 제약사 관계자는 "힘들게 신약을 개발했지만 여지껏 벌어들인 매출은 총개발비에도 못 미치는 신약들이 수두룩하다"며 "출시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국산 신약의 경쟁력은 아직도 멀어보인다"고 자조섞인 푸념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