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경희대가 지난 20년간 침구경락 SCI급 연구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경희대에 따르면 2011년 초 발행될 예정인 <신경과학 및 생물행동 개관(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Impact factor 10.141)>에 ‘침 연구의 세계 동향 및 업적(Global trends and performances of acupuncture research)’ 논문이 게재된다.
이 논문은 중국 북경대 신경과학연구소 한지셩 교수와 대만 중국의약대학 호위샨 교수가 공동으로 1991년부터 2009년까지 6004개의 침구경락 관련 논문을 분석한 것으로, 지난 20년간 침구경락 연구와 관련된 SCI급 논문을 종합 평가했다.
이 논문은 지난 20년간 SCI급 침 연구 논문 출간 전세계 1위로 경희대(149편)를 꼽아 미국 하버드대나 중국 북경대를 제쳤다.
경희대에 이어 중국 푸단대(132편), 미국 하버드대(98편), 중국 북경대(88편), 영국 엑스터대(66편)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침구경락 분야에서 통합 및 보완의학 분야가 25%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됐으며, 신경과학(19%), 일반의학(14%) 등의 순을 보였다.
경희대는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 전통의학의 가치를 발견하고 학문후속세대양성 등 한의학에 대해 집중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특히 경희대는 2005년 한국연구재단 우수연구센터(SRC)로 지정된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소장 이혜정 경희한의대 교수)가 이러한 통계분석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 센터가 설립된 이후 최근 6년간 146편의 침구경락 관련 SCI 논문이 발표됐으며, Impact factor 3.0 이상 논문도 19편 게재되는 등 양적, 질적 성장을 이뤄졌다는 것이다.
이혜정 소장은 “우리나라의 한 대학이 학문의 한 분야에서 국제논문 출간 전세계 1위를 달성한 것은 타 학문분야에서도 이루기 힘든 업적”이라면서 “한의학이 전통학문이라는 특수한 장점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 소장은 “전통의학의 풍부한 지적 자원을 기반으로 주변 학문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한의학의 과학화와 세계화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면서 “세계적인 연구기관으로 전통의학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정부 지원과 학문간의 협력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의학 오랜 임상경험을 과학적으로 접근하면 의학의 소중한 자산이 됩니다. 이혜정 교수도 이 점을 잘 알고 계시겠지요. 제가 전공하는 분야도 침구관련 내용이 결국 신경자극술로 발전하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물론 특허는 벨기에 회사에 있습니다. 고등학교 때 수학, 물리, 생물 등등 과학도 잘 하셔서 한의사가 되셨을텐데 한의학의 막연한 내용들이 그렇게 쉽게 받아드려지시는가도 참 궁금합니다. 한의학의 장점들이 의학에 자연스럽게 흡수되면 최선인데 불가능한 이야기인 거 같고...아! 앞으로 지속될 이 혼란스러움이 참 걱정됩니다.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