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정심, 의·병원은 현행 유지…영상장비 인하폭 가닥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 소위원회는 24일 오전 회의에서 대형병원 경증 외래집중화 완화 방안과 영상장비 수가합리화 방안을 논의했다.
소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의원과 병원은 현행 30%를 유지하고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을 각각 40%와 50% 인상하는 방안을 다수의견으로 결정했다.
보건복지부의 기존 약제비 본인부담률 방안은 의원 30%, 병원 40%, 종합병원 50%, 상급종합병원 60% 등으로 구성됐다.
소위원회는 다만, 경증질환 적용 범위는 의원급 50개 다빈도 질환군을 의사협회와 병원협회에서 학회 의견을 토대로 재분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날 논의된 영상장비 수가합리화의 경우, CT는 15%를 MRI는 30%, PET는 16% 각각 인하하는 방안을 다수의견으로 채택했다.
이는 지난 18일 건정심에 보고된 2개안(일일 검사건수 3건 이하 제외, 평균건수 이하 기관 건수 평균건수로 대체)인 ▲CT:17.2%, 30.0% ▲MRI:33.5%, 33.0% ▲PET:20.1%, 18.9% 등과 비교하면 다소 낮춰진 수치이다.
CT 15%-MRI 30%-PET 16% 인하율 채택
이를 적용하면 총비용 절감액은 1678억원으로 건강보험 재원이 1291억원 절감되고 환자 부담액도 약 387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수가인하율에 따른 절감총액은 2200억원(1안)과 3000억원(2안)이다.
소위원회는 가급적 1년 이내 CT와 MRI, PET의 정확한 비급여 규모 및 유지보수비 등의 실태조사를 벌여 장비별 사용연수와 검사건수 등을 고려한 차등수가제 도입시 이 결과를 검토하기로 했다.
병원협회 정영호 보험위원장은 “절감액이 당초안보다 일부 줄었으나 학회와 협회의 의견이 절반도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복지부가 비급여 비율 등 산정기준이 부실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재정절감 입장만 고수했다”고 말했다.
소위원회 의견은 참석위원들의 일정으로 변경된 오는 28일 건정심 본회의에서 의결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