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미라도 내달부터 급여 제한 철폐…레미케이드·엔브렐과 동일

관련 시장에서 1위 품목인 '휴미라'가 내달부터 급여 제한이 철폐돼 평생 환자부담금이 기존대로 10%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한달전 같은 조치가 취해졌던 레미케이드, 엔브렐와 다시 동일선상에서 경쟁하게 된 것이다.
'휴미라'는 내달부터 약값도 5% 인하된다. 앞서 레미케이드와 엔브렐도 5% 가격이 내려간 바 있다.
한마디로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시장에 등장했던 가격 변수가 '휴미라'의 보험 급여 철폐로 사라진게 된 것이다.
▲ 휴미라·엔브렐·레미케이드 환자부담금은?
'휴미라'는 내달부터 기존 45만7146원의 약값이 43만4289원으로 인하된다. 2주에 한 번 주사하는 투여방법을 고려하면, 한달(2회 주사)에 환자부담금은 8만6858원(4만3429원*2)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엔브렐'의 한달 투여 본인부담금을 계산하면, 한달 9만7592원이 소요된다. '엔브렐'은 1주에 2번 주사한다. 한달은 8번이다.
두 약제를 1년으로 보면, '휴미라'는 104만2212원, '엔브렐'은 126만8696원이다.

종합해보면, 1년간 환자부담금은 '레미케이드'(69만6432원), '휴미라'(104만2212원), '엔브렐'(126만8696원) 순으로 적다.
▲ 가격 이외의 차이점은?
3종 모두 TNF 억제제의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이지만, 차이점은 많다.
성분, 작용기전, 함량·제형, 투여방법, 병용투여, 국내 허가 적응증 등 약물마다 갖는 특징이 제각각이다.
투여방법만 봐도 '엔브렐'은 주 2회, '휴미라'는 월 2회(이상 피하주사), '레미케이드'는 두달에 1회(정맥 주사)로 천차만별이다.
한마디로 의사나 환자의 선택은 이같은 모든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한마디로 가격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맞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는 얘기다.
TNT 억제제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를 보유한 다국적제약사 의사는 "국내에 3종의 약물이 나와있는 만큼 여러가지 면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좋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성분이다. 물론 가격적인 부분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견해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