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회장 회의서 결정…여당 전액 무료화 약속 등에 영향

의료계의 저조한 참여 등으로 반쪽짜리 사업으로 전락했던 국가 필수예방접종이 활성화될지 주목된다.
23일 대한소아청소년과개원의사회에 따르면 최근 열린 전국 지회장 회의 등을 통해 이 같이 결정했다.
이 사업은 국가 필수예방접종률 향상을 위해 보건소뿐 아니라 민간 병·의원에도 환자 접종비를 지원하는 것으로, 참여정부 당시 소아청소년과의 적극적인 협조 속에 추진됐었다.
하지만 지난 2009년 본 사업이 시작되면서 정부가 예산 확보 문제로 보건소와 같은 전액 지원 방식이 아닌, 30% 지원 방식으로 변경했고, 소아청소년과는 전액 지원을 주장하며 사업 불참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이 사업은 핵심이 될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이 빠진 채 기형적으로 진행되면서 활성화되지 못해 책정된 예산마저 남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경기도, 인천 등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가 필수예방접종 사업에 예산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한나라당이 전액 무료화 추진을 약속하는 등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다.
결국 소아청소년과 개원의사회는 환경 변화에 주목하고, 전격 참여를 선언하게 된 것이다.
오는 7월부터 예방접종 등록기관으로 신청해 국가 필수예방접종 사업에 적극 참여한다는 입장이다.
의사회 임수흠 회장은 "경기도 등 지자체를 통한 필수예방접종 확대 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거뒀고, 실제로 많은 소청과 개원의들이 참여하고 있다"면서 "정치권이나 국민 여론을 봤을 때 전면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소아청소년과 개원의사들이 참여를 선언함에 따라 국가필수예방접종 사업은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