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일 박사팀, 세계흉부외과학회지 6월호 게재
초기 폐암 환자에서 수술 후 90% 이상의 완치율을 보이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재일 박사.
국립암센터 조재일 박사팀(이현성)은 1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폐엽절제술을 시행 받은 201명을 대상으로 재발율 및 생존율을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1A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후 90%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종양의 괴사 정도가 재발과 관련된 중요한 인자로서 종양의 괴사가 없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4.8%인 것에 비해, 종양의 괴사가 있는 환자의 생존율은 86.2%였다.
조재일 박사는 "세계폐암학회 자료에 따르면 1A기 비소세포폐암 수술 후 5년 생존율 73%와 비교하면 국내 폐암수술 성적이 우수하다"면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발견해 추가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조 박사는 이어 "수술 받는 환자의 60% 이상이 1기 폐암환자이므로 폐암 전체의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기 검진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흉부외과학회 공식 학회지인 'Annals of Thoracic Surgery' 6월호에 게재됐다.

이에 따르면 1A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후 90%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종양의 괴사 정도가 재발과 관련된 중요한 인자로서 종양의 괴사가 없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4.8%인 것에 비해, 종양의 괴사가 있는 환자의 생존율은 86.2%였다.
조재일 박사는 "세계폐암학회 자료에 따르면 1A기 비소세포폐암 수술 후 5년 생존율 73%와 비교하면 국내 폐암수술 성적이 우수하다"면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발견해 추가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조 박사는 이어 "수술 받는 환자의 60% 이상이 1기 폐암환자이므로 폐암 전체의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기 검진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흉부외과학회 공식 학회지인 'Annals of Thoracic Surgery' 6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