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의대길병원은 외과 정민 교수(사진)가 사타구니(서혜부) 탈장 수술 1000례를 달성했다고 19일 밝혔다.
탈장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조직으로 돌출되거나 빠져나오는 현상으로 주로 복부, 그 중에서도 서혜부 탈장이 가장 흔하다.
서혜부 탈장은 배와 다리가 만나는 사타구니 인대 바로 위 복부 쪽에서 발생한다. 인구의 2~5%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매년 약 3만 건의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정 교수는 2002년 탈장 수술을 처음으로 시작한 이후 10년 만에 1000례 수술을 달성했다. 서혜부 탈장 다음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복벽 탈장도 140례를 넘어섰다.
정 교수는 “탈장된 덩어리는 주로 장간막이거나 소장 혹은 대장일 수 있는데 소장, 대장이 내려오면 장이 막히는 증상이 생겨 복통이 있고 토하면서 방귀가 나오지 않는다”며 “이런 증상이 지속되면 장이 썩는 지경에 이를 수 있지만 어떤 환자에게 발생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탈장 환자는 반드시 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가천의대 길병원은 인공막으로 탈장 부분을 보강하는 메쉬(mesh) 방법으로 수술을 하고 있다.
탈장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조직으로 돌출되거나 빠져나오는 현상으로 주로 복부, 그 중에서도 서혜부 탈장이 가장 흔하다.
서혜부 탈장은 배와 다리가 만나는 사타구니 인대 바로 위 복부 쪽에서 발생한다. 인구의 2~5%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매년 약 3만 건의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정 교수는 2002년 탈장 수술을 처음으로 시작한 이후 10년 만에 1000례 수술을 달성했다. 서혜부 탈장 다음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복벽 탈장도 140례를 넘어섰다.
정 교수는 “탈장된 덩어리는 주로 장간막이거나 소장 혹은 대장일 수 있는데 소장, 대장이 내려오면 장이 막히는 증상이 생겨 복통이 있고 토하면서 방귀가 나오지 않는다”며 “이런 증상이 지속되면 장이 썩는 지경에 이를 수 있지만 어떤 환자에게 발생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탈장 환자는 반드시 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가천의대 길병원은 인공막으로 탈장 부분을 보강하는 메쉬(mesh) 방법으로 수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