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관련 유전자 연구…국과위, 380건 중 100개 선정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올해 15개 부처, 380건의 우수성과에 대해 분야별 심층평가를 실시해 최종 100개의 우수성과를 선정했다. 우수성과 선정은 2006년부터 시행했다.
김신윤 교수는 2001~2011년 총 202개의 유전자, 총 609개의 SNP를 분석해 총 35개의 유전자를 발굴했다.
그는 발굴한 유전자를 이용해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위험성이 높은 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유전자 기반 질병 예측 도구로 47개의 유전자, 75개의 단일유전자변이로 구성된 1차 진단 칩 목록을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