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 안철우 국제진료소장
"우리나라처럼 1차 의원이 이렇게 임상경험을 풍부하게 갖고 있는 나라는 드뭅니다. 병원접근성도 아주 좋습니다. 유헬스(u-health)는 더 이상 밥그릇 싸움이 아닙니다. 국가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소 안철우 소장(내분비내과)은 최근 유헬스 활성화를 위해 소비자인 국민, 공급자인 의사, 제도를 만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 유헬스 사업은 대형병원과 대기업이 기반을 닦고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안 소장은 "고속도로를 만들어 놓으면 차를 갖고 있는 사람은 모두 달릴 수 있다. 유헬스 기반도 마찬가지다. 대형병원과 대기업이 기반을 만들어 놨다. 이제 1차의원이 참여할 수 있는 때가 왔다"고 설명했다.
안철우 소장은 현재 복지부 글로벌 유헬스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지금은 유헬스가 들어오면 위기라고 느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의료한류를 불러올 수 있는 유망한 분야"라고 말했다.
예를들어 1차의원이 100~200명의 환자를 유헬스로 관리하고, 환자에게 심각한 문제가 생겼을 때 3차기관에 협력을 요청하는 식이다.
안철우 소장은 "유헬스 구축을 위한 기술력과 의료수준은 다 돼 있다. 하지만 현행 의료법에서는 원격진료가 불법이라서 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의료기관들이 해외환자 유치를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밖에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많은 대형병원들이 해외환자 유치를 위해 러시아, 베트남 환자를 원격진료하고 있다. 강남세브란스도 1년만에 원격화상진료 300례를 돌파했다. 이들 중 15% 이상은 우리나라를 방문해 건강검진과 진료를 받았다.
안 소장은 "우리나라 임상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제도를 만드는 사람을 비롯해 소비자, 공급자가 모두 소통해서 방향을 정해 해결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 유헬스 사업은 대형병원과 대기업이 기반을 닦고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안 소장은 "고속도로를 만들어 놓으면 차를 갖고 있는 사람은 모두 달릴 수 있다. 유헬스 기반도 마찬가지다. 대형병원과 대기업이 기반을 만들어 놨다. 이제 1차의원이 참여할 수 있는 때가 왔다"고 설명했다.
안철우 소장은 현재 복지부 글로벌 유헬스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지금은 유헬스가 들어오면 위기라고 느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의료한류를 불러올 수 있는 유망한 분야"라고 말했다.
예를들어 1차의원이 100~200명의 환자를 유헬스로 관리하고, 환자에게 심각한 문제가 생겼을 때 3차기관에 협력을 요청하는 식이다.
안철우 소장은 "유헬스 구축을 위한 기술력과 의료수준은 다 돼 있다. 하지만 현행 의료법에서는 원격진료가 불법이라서 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의료기관들이 해외환자 유치를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밖에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많은 대형병원들이 해외환자 유치를 위해 러시아, 베트남 환자를 원격진료하고 있다. 강남세브란스도 1년만에 원격화상진료 300례를 돌파했다. 이들 중 15% 이상은 우리나라를 방문해 건강검진과 진료를 받았다.
안 소장은 "우리나라 임상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제도를 만드는 사람을 비롯해 소비자, 공급자가 모두 소통해서 방향을 정해 해결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