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기자실 방문해 밝혀 "외상센터, 7개에서 18개로 확대"
중증외상센터가 기존 7개에서 18개로 확대된다. 또한 약국과 편의점이 없는 읍면에 약상자 보급과 약방 설치 등이 추진된다.

임채민 장관.
보건복지부 임채민 장관은 3일 오후 기자실을 불시 방문해 "기존 계획인 7개 중증외상센터에 소형 센터를 포함해 최대 18개 중증외상센터 건립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 장관의 이날 방문은 2일 국회를 통과한 응급의료법과 약사법 등 8개 법안에 대한 언론 협조와 당부 차원에서 이뤄졌다.
임채민 장관은 "중증외상센터 건립에 소요되는 기간을 감안해 응급의료기금의 유효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개정했다"면서 "기존 '2+5' 대형센터 모형과 더불어 소형 중증외상센터 10여개를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 장관은 "향후 5년간 18개 중증외상센터가 건립되면 전국 어디서든 1시간내 중증외상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것"이라면서 "우선, 5개 외상센터에 대한 공모를 조만간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감기약과 해열제 등 일반약 편의점 판매 후속 방안도 피력했다.
임채민 장관은 "이해 관계자(약사, 제약업계)와 국민 모두가 조금씩 욕심을 줄이고 시작한다는 점에서 현안 추진의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면서 "(약사법 통과가)사회 문제를 타협으로 해 나가는 선례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특히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약국과 편의점이 없는 전국 680개 읍면에 대한 신뢰성 있는 방안"이라며 "독거노인 등을 위한 약 상자 보급을 비롯하여 보건지소 활용과 약방 설치 등 다양한 형태를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임채민 장관은 "법 시행까지 향후 6개월 동안 유통체계 협력과 함께 일반약 구입에 따른 안전성을 잘 준비해 나가겠다"며 언론의 협조를 당부했다.

임 장관의 이날 방문은 2일 국회를 통과한 응급의료법과 약사법 등 8개 법안에 대한 언론 협조와 당부 차원에서 이뤄졌다.
임채민 장관은 "중증외상센터 건립에 소요되는 기간을 감안해 응급의료기금의 유효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개정했다"면서 "기존 '2+5' 대형센터 모형과 더불어 소형 중증외상센터 10여개를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 장관은 "향후 5년간 18개 중증외상센터가 건립되면 전국 어디서든 1시간내 중증외상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것"이라면서 "우선, 5개 외상센터에 대한 공모를 조만간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감기약과 해열제 등 일반약 편의점 판매 후속 방안도 피력했다.
임채민 장관은 "이해 관계자(약사, 제약업계)와 국민 모두가 조금씩 욕심을 줄이고 시작한다는 점에서 현안 추진의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면서 "(약사법 통과가)사회 문제를 타협으로 해 나가는 선례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특히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약국과 편의점이 없는 전국 680개 읍면에 대한 신뢰성 있는 방안"이라며 "독거노인 등을 위한 약 상자 보급을 비롯하여 보건지소 활용과 약방 설치 등 다양한 형태를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임채민 장관은 "법 시행까지 향후 6개월 동안 유통체계 협력과 함께 일반약 구입에 따른 안전성을 잘 준비해 나가겠다"며 언론의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