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숙 국회의원 강조…"낮은 의료수가가 리베이트 조장"

박인숙 19대 국회의원 당선자가 임기 내 면허국 제도를 입법화할 수 있다는 계획을 조심스럽게 내비췄다. 그간 박 의원은 가장 시급한 의료개혁 과제로 '보건의료인 면허국' 신설과 의료일원화를 주창해 왔다.
11일 박인숙 국회의원은 마인츠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의정활동 등 국회의원으로서의 향후 계획을 밝혔다.
먼저 박 의원은 국회 상임위 중 교육과학위원회에 소속되고 싶다는 생각을 분명히 했다.
"교육과학위원회에 첫 발 내딛고 싶다"
그는 "개원을 한 적은 없지만 의대 학장을 하면서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며 "의료계에 문제가 많은데 좋은 교육 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좋은 교육을 시켜서 좋은 의사를 만들어 사회로 내보내야 의사가 존경받을 수 있다"며 "이를 위해 국회 교과위로 가려고 하지만 가더라도 의료계 현안이 있으면 법안을 발의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박 의원은 이어 "의대의 교과 과정뿐 아니라 인성 교육이 절실하다"면서 "의대 신입생 선발 시 인성을 고려하고 의대 학생 교육에 윤리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KMA 국시에 윤리문제를 포함시켜야 하고, 의사면허 재등록 시 윤리 교육도 필요하다"며 "이는 영국이나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의사면허국 입법 시기상조, 설득 작업 필요"
한편 박 의원은 교수 시절부터 강조해온 의사면허국 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설명도 이어갔다.
박 의원은 "의료윤리가 가장 중요하다. 의료윤리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고는 의료계 발전이 없다. 이를 위해 의사면허국을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전했다.
박 의원은 여러 편의 윤리 관련 기고글을 통해 '보건의료인 의사면허국'의 필요성을 주장한 바 있다.
미국은 모든 주마다 독립기구인 의사면허국을 두고 모든 의사들에게 활동을 보고 받고 그 결과를 주민에게 알리고 있다.
박 의원은 "미국에선 징계받은 의사 이름, 면허번호, 지역, 불법 행위에 따른 면허 일시 정지 기간을 알린다"며 "이렇게 (국내에서도 면허국을 통해) 정보 공개를 하면 의료윤리와 관련된 상당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낮은 수가가 리베이트, 임의비급여 악순환 만들어"
낮은 수가가 의료계의 리베이트 등 불법을 조장하고 있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박 의원은 "성형외과 탈세, 리베이트, 사무장병원 등 의료계에 도덕적인 개념이 사라지고 있다"며 "하지만 근본적으로 낮은 수가가 리베이트 등 불법행위를 조장하고 있고, 이는 다시 국민의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단에서 인정하는 준법 진료를 하면 살릴 수 있는 환자도 죽을 수 있다"며 "양심대로 교과서대로 진료하는 의사와 병원은 모두 범법자가 된다"고 환기시켰다.
갑상선 수술 비용을 살펴보면 미국이 한국의 22배에 이를 정도로 한국은 의사가 희생해서 환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로 왜곡돼 있다는 것.
박 의원은 "낮은 수가로 인해 병의원은 임의비급여를 할 수밖에 없다"며 "보험료를 현실화하고 국민들도 돈을 적게 내면서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받겠다는 의식을 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