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병협 백성길 회장, 의료단체 갈등 일침 "한 목소리 내야 산다"
"의사협회 혼자 나선다고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다. 의료계 내부에 갈등 관계를 만들기 보다는 의협과 병협 그리고 한의협, 치협까지 4개 단체가 공조해서 함께 움직여야 한다."

백성길 중소병원협회 회장
백성길 중소병원협회장(백성병원장)은 17일 기자간담회에서 포괄수가제와 건정심 구조 개혁 등으로 불거진 의사협회와 병원협회 갈등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그는 이어 의료계 단체를 하나로 묶어줄 수 있는 (가칭)'의료인단체총연합회' 구성을 제안했다. 필요하다면 자신이 총대를 메겠다며 의료단체의 화합을 강조했다.
백 회장은 "최근 의협과 병협의 행보를 보면 서로 마주보고 달리는 기차같다"면서 "서로 헐뜯는 모습으로는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익단체 성격을 띠며 여러 단체가 생겨나는 것은 이해하지만, 이런 분위기가 계속 된다면 결국 의료계는 와해될 것"이라면서 "의료단체가 각각의 목소리를 낼 것이 아니라 한 목소리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공의 노조와 봉직의 단체 등 직역별로 단체를 구성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백 회자은 "의협 혼자 나선다고 될 일이 아니다. 포괄수가제를 막고자 강경하게 나선 것 충분히 이해하지만 극단적으로 나가선 안 된다"면서 "의료계가 함께 움직여야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보건의료 관련 연구용역사업과 관련 '의료공동연구재단'설립을 제안했다.
복지부가 의료계에 연구용역을 맡길 때 의협과 병협, 치협과 한의협 등 의료인을 하나로 묶어주는 연구재단이 있다면 의료계의 싱크탱크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중소병원계가 요양병원, 전문병원, 정신병원 등 이익을 대변하는 별도의 단체로 나뉜 것에 대해서도 한마디 했다.
백성길 회장은 "의료계 4개 단체를 하나로 묶을 수 없다면 중소병원만이라도 한 목소리를 내는 조직이 필요하다"면서 "전문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으로 나눌 필요 있느냐. 우리부터 하나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의료계 단체를 하나로 묶어줄 수 있는 (가칭)'의료인단체총연합회' 구성을 제안했다. 필요하다면 자신이 총대를 메겠다며 의료단체의 화합을 강조했다.
백 회장은 "최근 의협과 병협의 행보를 보면 서로 마주보고 달리는 기차같다"면서 "서로 헐뜯는 모습으로는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익단체 성격을 띠며 여러 단체가 생겨나는 것은 이해하지만, 이런 분위기가 계속 된다면 결국 의료계는 와해될 것"이라면서 "의료단체가 각각의 목소리를 낼 것이 아니라 한 목소리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공의 노조와 봉직의 단체 등 직역별로 단체를 구성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백 회자은 "의협 혼자 나선다고 될 일이 아니다. 포괄수가제를 막고자 강경하게 나선 것 충분히 이해하지만 극단적으로 나가선 안 된다"면서 "의료계가 함께 움직여야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보건의료 관련 연구용역사업과 관련 '의료공동연구재단'설립을 제안했다.
복지부가 의료계에 연구용역을 맡길 때 의협과 병협, 치협과 한의협 등 의료인을 하나로 묶어주는 연구재단이 있다면 의료계의 싱크탱크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중소병원계가 요양병원, 전문병원, 정신병원 등 이익을 대변하는 별도의 단체로 나뉜 것에 대해서도 한마디 했다.
백성길 회장은 "의료계 4개 단체를 하나로 묶을 수 없다면 중소병원만이라도 한 목소리를 내는 조직이 필요하다"면서 "전문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으로 나눌 필요 있느냐. 우리부터 하나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