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주 상한가 기록…명문·유나이티드·유유·국제 조회 공시
"세계 최대 제네릭 업체 테바가 매출 규모 1500억원대의 국내 제약사 인수를 추진 중"이라는 복지부 고위 관료 한 마디에 제약계가 들썩이고 있다.
복지부 안도걸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지난달 29일 한 공식석상에서 이같은 내용을 전하며 "정부도 테바사 포함 국내 제약사의 M&A를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안도걸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지난달 29일 열린 국회 토론회에서 "테바가 1500억원 안팎의 국내제약사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 반응은 즉각적이었다. 지난달 31일만 봐도 제약주가 무더기 상한가를 기록했다.
근화제약, 유나이티드제약, 명문제약, 유유제약, 국제약품, 한독약품 등 10개사가 가격 제한폭까지 올랐다. 모두 1500억원 안팎의 매출액을 기록하는 기업들이다.
이중 명문제약은 지난 1일 M&A설 관련 조회 공시에서 "사실이 아니다"고 답변했고, 2일(오늘) 오전에는 유나이티드제약, 유유제약, 국제약품 등 3곳이 또 다시 조회 공시를 받았다. 외신에서 이들 기업을 테바 M&A 유력사로 꼽았기 때문이다.
해당사들은 몸살이다. 주주들로부터 "사실이냐"는 문의 전화가 쉴새없이 오기 때문이다.
복수의 관계자들은 "M&A라는 것이 원체 비밀리에 추진되는 것이기 때문에 핵심 인사를 빼고는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 만약에 안다고 해도 발설할 수가 없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한바탕 M&A설에 휩싸인 기업들은 소문이 사그라들면 항의전화 등으로 홍역을 겪는다. 무엇보다 투자자들의 정확한 상황 판단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복지부 안도걸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지난달 29일 한 공식석상에서 이같은 내용을 전하며 "정부도 테바사 포함 국내 제약사의 M&A를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근화제약, 유나이티드제약, 명문제약, 유유제약, 국제약품, 한독약품 등 10개사가 가격 제한폭까지 올랐다. 모두 1500억원 안팎의 매출액을 기록하는 기업들이다.
이중 명문제약은 지난 1일 M&A설 관련 조회 공시에서 "사실이 아니다"고 답변했고, 2일(오늘) 오전에는 유나이티드제약, 유유제약, 국제약품 등 3곳이 또 다시 조회 공시를 받았다. 외신에서 이들 기업을 테바 M&A 유력사로 꼽았기 때문이다.
해당사들은 몸살이다. 주주들로부터 "사실이냐"는 문의 전화가 쉴새없이 오기 때문이다.
복수의 관계자들은 "M&A라는 것이 원체 비밀리에 추진되는 것이기 때문에 핵심 인사를 빼고는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 만약에 안다고 해도 발설할 수가 없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한바탕 M&A설에 휩싸인 기업들은 소문이 사그라들면 항의전화 등으로 홍역을 겪는다. 무엇보다 투자자들의 정확한 상황 판단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