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합병증 유무, 성별 고려한 5년 추적 리얼라이프데이터 공개

21일 서울 웨스턴 조선호텔에서 열린 '유전학적 특성에 따른 B형 간염 치료' 최신 지견 발표 기자간담회에서다.
김 상무는 이날 바라크루드(엔테카비르)가 보유하고 있는 홍콩, 일본 등 아시아 리얼라이프 데이터를 공개했다.
그에 따르면, 바라크루드는 홍콩 리얼라이프데이터에서 5년간 0.6%의 누적 내성발현율과 98.9%의 강력한 바이러스 억제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 또 일본 데이터에서는 5년간 0.4%의 누적 내성발현율을 보였다.
김 상무는 "대부분 서양인은 A·D 타입, 아시아인은 B·C 타입의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다. 각기 다른 유전자형은 B형간염 치료시 치료제 효능 및 부작용 발현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바라크루드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임상은 물론 실제 처방 사례에서도 효과를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자리를 함께 한 호주 빅토리안 감염연구소 스티븐 로카르니니 연구소장도 아시아인과 비아시아인은 같은 약으로 치료하더라도 다른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리얼라이프데이터는 제한된 조건을 충족하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과는 달리 실제 생활 속에서 나이, 합병증 유무, 성별 등 차이에 따른 다양한 조건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효능 등의 결과를 취합한 것이다. 바라크루드의 아시아인 데이터 보유는 이래서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