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파킨슨병 환자 운동장애ㆍ삶의 질 개선 우수

5일 메드트로닉은 초기 운동장애를 가진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뇌심부 자극술과 약물치료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 최초의 대규모 다기관 무작위 비교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 뇌심부 자극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수술 후 2년 시점의 질병 관련 삶의 질이 약물치료만 받은 환자군보다 평균 26% 개선됐다.
반면 약물치료만 받은 환자군에서는 삶의 질이 1%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는 독일과 프랑스의 17개 센터ㆍ251명의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2년간 추적조사로 이뤄졌다.
‘얼리스팀’(EARLYSTIM)으로 명명된 이번 연구의 2년 추적조사 결과 메드트로닉의 뇌심부 자극술을 받은 환자, 즉 실험군의 경우 환자의 운동 기능이 53% 개선됐다.
반면 약물치료만을 받은 환자, 즉 대조군에서는 4%가 호전됐다.
이어 말하기, 쓰기, 옷 입기, 걷기 등 일상적인 활동에서도 실험군에서 30%의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대조군에서는 12%가 감소됐다.
또 운동장애나 기복 등 레보도파(도파민 전구물질)로 인한 부작용 측면에서도 수술 후 2년 시점의 실험군에서 61% 개선효과가 있었으며, 대조군에서는 13% 가량 부작용이 악화됐다.
더불어 실험군에서 레보도파나 이에 상응하는 약물 투여량이 39% 감소한 반면 약물치료만을 받은 대조군에서는 같은 기간 약물 투여량이 21% 증가했다.
독일 크리스찬 알브레히츠(Christian-Albrechts) 대학 신경과 교수이자 얼리스팀 선임 연구자인 귄터 도이슐(Günther Deuschl)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파킨슨병 환자의 치료에 있어 접근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며 "뇌심부 자극술이 운동 기복과 장애가 발생하기 시작한 초기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도 기여한다는 사실이 증명됐다"고 밝혔다.
또 대한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학회장인 동아대병원 신경과 김재우 교수는 "파킨슨병 환자는 발병 후 초기 3~4년간은 적절한 약물치료만으로 정상인에 가까운 생활이 가능하지만 그 이후에는 약물로 인한 증상 동요와 레보도파 유발성 이상운동증 등 부작용이 동반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초기 파킨슨병 환자에 대해서도 뇌심부 자극술이 유효한 치료옵션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이번 연구가 의미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한편, 뇌심부 자극술은 인공심장박동기의 경우처럼 외과적으로 이식하는 의료기기를 통해 전기자극을 정교하게 뇌 특정부위에 전달하는 치료법이다.
이러한 전기자극을 통해 파킨슨병성 행동신호와 레보도파로 인한 행동이상을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련된 전문의의 프로그램과 비침습적인 조절을 통해 전달되는 자극이 최대한 증상을 조절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10만명 이상의 환자들이 수술을 받은 이 치료법은 미국, 유럽, 한국 등 많은 국가에서 본태성 진전, 파킨슨병, 만성근육긴장이상증(디스토니아)등의 증상치료에 대해 허가를 받았다.
특히 한국을 비롯해 유럽과 캐나다 등지에서는 내화성 간질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강박장애 치료에도 허가를 받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