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계학회서 심각한 전공의 기피 등 집중 논의…"정부 지원 절실"
사상 최악의 전공의 지원율을 기록하며 끝없는 추락을 지속하고 있는 비뇨기과가 난국을 타계하기 위해 몸부림을 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복지부는 다소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며 지원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대한비뇨기과학회는 27일과 28일 양일에 걸쳐 진행된 춘계학술대회에서 전공의 확보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학회에서 비뇨기과는 전국 수련병원 과장회의는 물론, 비뇨기과 수급 위기와 대책에 대한 공청회를 열며 자구책을 논의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뾰족한 대안은 나오지 않았다. 결국 수가인상과 전문영역 확보라는 두가지 틀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학회는 우선 비뇨기 질환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해 라디오 광고 캠페인을 전개할 계획이다. 전문영역 확보를 위한 자구책인 셈이다.
오는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진행되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학회는 전립선 비대증과 과민성 방광, 남성 갱년기 질환, 요로감염이 비뇨기 질환이라는 인식을 심는데 주력할 예정이다.
비뇨기과학회 이형래 홍보이사(경희의대)는 "과민성 방광 등은 비뇨기 질환임에도 산부인과나 가정의학과를 찾는 환자들이 많다"며 "비뇨기과는 성병으로 이어지는 공식을 깨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공의 확보 등 시급한 현안은 머리를 모아도 대안이 쉽게 나오지 않았다. 결국 수가인상 외에는 방법이 없다는 것이 학회의 하소연.
실제로 이날 공청회에서도 비뇨기과의 현황과 문제점 등이 다양하게 논의됐지만 결국 수가인상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대한의사협회도 이에 대한 지원사격에 나섰다. 비뇨기과 질환의 특수성이 간과된 채 수가를 책정해 지원 기피를 부채질 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한 것이다.
이날 의료정책강좌 연자로 나선 의협 유승모 보험이사는 "만성 전립선염만 해도 완치가 사실상 힘든 난치성 질환"이라며 "결국 비뇨기과 전문의가 이를 관리해야 하지만 수가는 턱없이 낮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경요도 수술, 검사 등의 수가를 대폭 인상하고 성기능장애 치료제의 처방권을 제한하는 등의 방안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복지부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이다. 비뇨기과 수가인상은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며 선을 그어버린 것.
보건복지부 고득영 의료자원정책과장은 "특정 진료과목에 대한 수가인상은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며 "또한 전공의 정원 등의 문제도 의학회에 일임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미국 등의 예를 들며 전공의 기피 문제에 대한 답을 애둘러 표현했다.
고 과장은 "미국을 보면 10년 전부터 비뇨기과 전문의 배출 인력을 조정해 현재 전체 전문의 중 비뇨기과는 약 1% 수준"이라며 "하지만 우리나라는 2012년 기준 2200명이 활동하고 있어 전체 전문의의 3.3%를 차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 기준으로 보면 전체 전공의의 1%는 30명 수준"이라며 "2013년에 43명의 전공의를 확보하지 않았느냐"고 환기시켰다.
하지만 이에 대해 복지부는 다소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며 지원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대한비뇨기과학회는 27일과 28일 양일에 걸쳐 진행된 춘계학술대회에서 전공의 확보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학회에서 비뇨기과는 전국 수련병원 과장회의는 물론, 비뇨기과 수급 위기와 대책에 대한 공청회를 열며 자구책을 논의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뾰족한 대안은 나오지 않았다. 결국 수가인상과 전문영역 확보라는 두가지 틀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학회는 우선 비뇨기 질환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해 라디오 광고 캠페인을 전개할 계획이다. 전문영역 확보를 위한 자구책인 셈이다.
오는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진행되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학회는 전립선 비대증과 과민성 방광, 남성 갱년기 질환, 요로감염이 비뇨기 질환이라는 인식을 심는데 주력할 예정이다.
비뇨기과학회 이형래 홍보이사(경희의대)는 "과민성 방광 등은 비뇨기 질환임에도 산부인과나 가정의학과를 찾는 환자들이 많다"며 "비뇨기과는 성병으로 이어지는 공식을 깨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공의 확보 등 시급한 현안은 머리를 모아도 대안이 쉽게 나오지 않았다. 결국 수가인상 외에는 방법이 없다는 것이 학회의 하소연.
실제로 이날 공청회에서도 비뇨기과의 현황과 문제점 등이 다양하게 논의됐지만 결국 수가인상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대한의사협회도 이에 대한 지원사격에 나섰다. 비뇨기과 질환의 특수성이 간과된 채 수가를 책정해 지원 기피를 부채질 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한 것이다.
이날 의료정책강좌 연자로 나선 의협 유승모 보험이사는 "만성 전립선염만 해도 완치가 사실상 힘든 난치성 질환"이라며 "결국 비뇨기과 전문의가 이를 관리해야 하지만 수가는 턱없이 낮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경요도 수술, 검사 등의 수가를 대폭 인상하고 성기능장애 치료제의 처방권을 제한하는 등의 방안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복지부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이다. 비뇨기과 수가인상은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며 선을 그어버린 것.
보건복지부 고득영 의료자원정책과장은 "특정 진료과목에 대한 수가인상은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며 "또한 전공의 정원 등의 문제도 의학회에 일임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미국 등의 예를 들며 전공의 기피 문제에 대한 답을 애둘러 표현했다.
고 과장은 "미국을 보면 10년 전부터 비뇨기과 전문의 배출 인력을 조정해 현재 전체 전문의 중 비뇨기과는 약 1% 수준"이라며 "하지만 우리나라는 2012년 기준 2200명이 활동하고 있어 전체 전문의의 3.3%를 차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 기준으로 보면 전체 전공의의 1%는 30명 수준"이라며 "2013년에 43명의 전공의를 확보하지 않았느냐"고 환기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