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후에도 달라진 게 없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정부가 멱살잡고 끌고가면 또 끌려가는 게 아닌지 우려스럽다."
산부인과학회가 개최한 'DRG강제적용 대응 심포지엄'에서 한 토론자가 한 말이다.
그는 이날 산부인과학회가 복강경 수술 중단 선언을 철회하고 '선시행 후보완' 전략을 꾀하겠다고 밝힌 것을 두고 아쉬움을 넘어 우려를 드러냈다.
이후로도 이같은 우려가 제기되자 산부인과학회 김선행 이사장은 "아직 정부와의 대화가 끝난 게 아니기 때문에 1년 후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그때 더 강력한 투쟁을 할 것"이라며 의지를 보였다.
게다가 이날 산부인과학회는 앞으로 복지부를 설득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기 위해 특별위원회를 구성, 가동할 계획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그럼에도 의료계 일각에선 '과연 가능할 것인가'라는 물음표를 던지고 있는 이유는 뭘까.
사실 의료계는 복지부와의 대화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사례가 드물다.
당장 지난해 7월 시작한 '중소병원 선진화 TF 회의'만 봐도 그렇다. 당시 복지부는 수년째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는 중소병원을 육성하겠다며 TFT를 구성, 정기적으로 만나 대책을 논의했다.
논의 초에만 해도 중소병원계는 "시늉만 내는 게 아니냐"며 의구심을 보였지만 회의가 계속될수록 "이번만큼은 뭔가 바꿀 수 있겠구나"라는 확신으로 바뀌었다.
중소병원협회 산하에 미래위원회는 복지부와 효율적인 대화를 이끌고 전략을 세우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하지만 1년이 다되가는 지금 뭔가를 보여줄 듯 했던 '중소병원 선진화 TF 회의'는 잠정적으로 중단됐다.
올해 초 정권이 바뀌면서 논의가 흐지부지 되더니 얼마 전 복지부 담당자까지 바뀌면서 맥이 끊긴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허다하다. 산부인과학회도 지금은 건정심에서 수가현실화와 수술 분류체계 재정립 등을 명문화했다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지만 1년 후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것이 '선시행 후보완'을 택한 산부인과학회를 안타깝게 바라보는 이유다.
산부인과학회가 개최한 'DRG강제적용 대응 심포지엄'에서 한 토론자가 한 말이다.
그는 이날 산부인과학회가 복강경 수술 중단 선언을 철회하고 '선시행 후보완' 전략을 꾀하겠다고 밝힌 것을 두고 아쉬움을 넘어 우려를 드러냈다.
이후로도 이같은 우려가 제기되자 산부인과학회 김선행 이사장은 "아직 정부와의 대화가 끝난 게 아니기 때문에 1년 후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그때 더 강력한 투쟁을 할 것"이라며 의지를 보였다.
게다가 이날 산부인과학회는 앞으로 복지부를 설득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기 위해 특별위원회를 구성, 가동할 계획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그럼에도 의료계 일각에선 '과연 가능할 것인가'라는 물음표를 던지고 있는 이유는 뭘까.
사실 의료계는 복지부와의 대화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사례가 드물다.
당장 지난해 7월 시작한 '중소병원 선진화 TF 회의'만 봐도 그렇다. 당시 복지부는 수년째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는 중소병원을 육성하겠다며 TFT를 구성, 정기적으로 만나 대책을 논의했다.
논의 초에만 해도 중소병원계는 "시늉만 내는 게 아니냐"며 의구심을 보였지만 회의가 계속될수록 "이번만큼은 뭔가 바꿀 수 있겠구나"라는 확신으로 바뀌었다.
중소병원협회 산하에 미래위원회는 복지부와 효율적인 대화를 이끌고 전략을 세우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하지만 1년이 다되가는 지금 뭔가를 보여줄 듯 했던 '중소병원 선진화 TF 회의'는 잠정적으로 중단됐다.
올해 초 정권이 바뀌면서 논의가 흐지부지 되더니 얼마 전 복지부 담당자까지 바뀌면서 맥이 끊긴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허다하다. 산부인과학회도 지금은 건정심에서 수가현실화와 수술 분류체계 재정립 등을 명문화했다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지만 1년 후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것이 '선시행 후보완'을 택한 산부인과학회를 안타깝게 바라보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