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 수가 가산 제안…만성적자 공공병원 대책 마련 공감
서울시립보라매병원이 진주의료원 사태가 몰고온 사회적 파장에 힘입어 공공의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좌: 윤강섭 병원장, 우: 김용익 의원
최근 서울시립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은 김용익 의원(민주통합당)과의 사적인 만남을 가졌다.
공공의료에 대한 적정 수가 지급을 법제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다.
윤 병원장은 얼마 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공공의료 행위에 대한 수가를 15%의 가산해주면 다수의 공공병원이 겪고 있는 적자구조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이를 법제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김용익 의원과의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공공병원에 지급하는 보조금으로는 경영 안정성을 꾀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생각. 그는 이 같은 의견을 김 의원에게 전달했다.
김용익 의원은 폐업 위기에 몰린 진주의료원을 살려야한다며 단식투쟁을 벌이는 등 공공의료에 높은 관심을 보여온 의대교수 출신 국회의원으로 공공병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
실제로 김 의원은 앞서 진주의료원 사태가 불거졌을 당시 공공병원은 비급여 진료가 적고 부대사업으로 인한 수입이 없기 때문에 적자를 볼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며 의료수가체계 문제점을 제기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통해 의료기관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이날 윤 병원장의 법제화 제안에 김 의원은 "공공의료 활성화 방안을 위한 법안을 발의해 놓은 상태로 계속해서 관심을 두고 있다"고 입장을 전했다.
이에 대해 윤강섭 병원장은 "김용익 의원이 그동안 보여준 행보를 볼 때 공공의료 활성화방안을 함께 논의해 볼만하다고 생각했다"면서 "공공의료가 사회적 이슈가 됐을 때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공공의료에 대한 적정 수가 지급을 법제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다.
윤 병원장은 얼마 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공공의료 행위에 대한 수가를 15%의 가산해주면 다수의 공공병원이 겪고 있는 적자구조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이를 법제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김용익 의원과의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공공병원에 지급하는 보조금으로는 경영 안정성을 꾀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생각. 그는 이 같은 의견을 김 의원에게 전달했다.
김용익 의원은 폐업 위기에 몰린 진주의료원을 살려야한다며 단식투쟁을 벌이는 등 공공의료에 높은 관심을 보여온 의대교수 출신 국회의원으로 공공병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
실제로 김 의원은 앞서 진주의료원 사태가 불거졌을 당시 공공병원은 비급여 진료가 적고 부대사업으로 인한 수입이 없기 때문에 적자를 볼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며 의료수가체계 문제점을 제기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통해 의료기관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이날 윤 병원장의 법제화 제안에 김 의원은 "공공의료 활성화 방안을 위한 법안을 발의해 놓은 상태로 계속해서 관심을 두고 있다"고 입장을 전했다.
이에 대해 윤강섭 병원장은 "김용익 의원이 그동안 보여준 행보를 볼 때 공공의료 활성화방안을 함께 논의해 볼만하다고 생각했다"면서 "공공의료가 사회적 이슈가 됐을 때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았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