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질병에만 국한된 의료 질 평가, 활용 어렵다"

박양명
발행날짜: 2014-02-12 11:55:22
  • 보사연 강희정 연구원 "미국 벤치마킹 해 국가 차원에서 질 관리 필요"

보장성 강화를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한국 의료 질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발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고서 작성 의무화를 위한 법적 기반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함께했다.

벤치마킹 대상은 미국 보건부 산하 의료관리품질조사국(AHRQ)이 해마다 발간하는 '국가 의료 질 보고서'와 '국가 의료 불평등 보고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희정 연구위원은 최근 보사연이 발간하는 보건복지포럼에 '미국 의료의 질 보고서와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미국은 2003년부터 매년 의료시스템의 질 향상 정도를 평가해 의료의 질과 불평등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지난해 10주년을 맞았다.

미국 의료 질 평가 지표는 ▲효과성 ▲환자안전 ▲적시성 ▲환자중심성 ▲의료연계조정 ▲효율성 ▲Health System Infrastructure ▲Access to Health Care 등 크게 8개 부분으로 나눠져 있다.

2011년 미국 의료 질 보고서 지표 구성과 측정 범주
여기서 효과성은 주요 질환별로 예방, 치료, 관리, 결과에 대해 측정하고 있다. 환자 안전은 의료감염, 수술 후 패혈증, 의료사고, 조기사망 등을 평가한다.

질 평가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CDC, 미국 인구조사국 등에서 발간하는 자료를 참고한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의료의 질은 일부 질병이나 서비스 분야에 대한 임상적 성적을 공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강희정 연구위원은 "임상 전문가, 의료인, 관련 정책 전문가들에게는 중요한 잣대일 수 있지만 보편적 의료보장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는 실용적 근거로 활용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한된 영역에서의 평가는 해당 분야에서의 질 향상을 유도할 뿐 전체 의료 제공시스템에서의 질 향상을 유도하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강 연구위원은 국가 차원에서 의료의 질 평가 보고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질 향상을 위한 미시적 접근을 지속하면서 의료제공시스템의 참여자와 이해관계자들이 생산하는 모든 정보들을 모아 국가 수준에서 의료의 질을 평가하고 보고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