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컨설팅 윤성민 대표


비전 수립을 위해 지켜야 할 원칙

이는 비전 설계부터 직원들의 참여가 전혀 없었기 때문으로 비전 자체가 매우 추상적이고 상위하달 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비전 수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 직원이 공유할 수 있는 명확하고 간단한 비전을 수립하는 것이다. 적어도 전 직원이 우리 병원이 가야 할 길에 대해 명확하게 그릴 수 있는 비전이 좋다. 조직의 비전은 조직의 미션에 근거 해야하며, 구성원들의 소망이 담겨있어야 한다. 또한 비전은 미래환경이 고려되어야 한다.
조직 구성원들 사이에 비전이 공유되어 있으면
➀ 마음이 하나로 뭉쳐진다.
➁ 자신의 일의 목적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존재감을 느낀다.
➂ 일의 방향을 알아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한다.
➃ 자기 관리, 자기 통제가 가능해진다.
➄ 열정을 가지고 자신의 잠재능력을 발휘한다.
➅ 일이 즐겁고 조직 분위기가 좋아진다.
둘째, 비전을 원대하게 수립해야 한다. 최고의 수준의 글로벌 병원이 다른 산업에 비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이유는 무엇일까. 수준 높은 의료진이 있음에도 최고의 병원으로 가지 못하는 것은 병원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가기 위한 비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태국에 의료관광을 주도하고 있는 범룻랏 병원의 비전은 “We provide world class heathcare” 이다. 세계적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고 실제적으로 상당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비전은 병원이 5년 뒤 가야 할 원대한 목표를 기준으로 수립해야 한다. 환경 변화가 심한 요즘은 비전을 3년에서 5년으로 짧게 수립하지만 적어도 원하는 이상적인 모델을 목표로 그려나가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NHL에서 8번이나 MVP를 수상한 세계적인 아이스하키 선수인 웨인 그레츠키는 “난 퍽이 있었던 곳이 아닌, 퍽이 날아가는 곳으로 돌진한다.” 라는 명언을 남겼다. 비전 또한 지금 내가 있는 곳이 아닌 우리 조직이 최선을 다할 때 미래에 있을 곳으로 향해야 할 것이다.
셋째, 방향을 정확하게 수립해야 한다. 비전을 수립하다 보면 미션과 다른 방향의 비전으로 수립될 때가 있다. 중요한 것은 열정을 가지고 비전을 달성하기 이전에 방향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누군가와 경쟁하기 위한 잣대의 비전이 아니라 그리고 남을 제압하기 위한 비전이 아니라 공동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비전을 수립해야 한다.
병원마다 핵심가치가 있고 그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세부 비전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최근 Google이 중국에서 철수하면서 많은 이슈가 되었지만 미래에 가장 유망한 시장 속에서 철수할 수 있었던 것은 "웹 민주주의는 효과가 있다" 라는 핵심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결국 비전은 병원의 핵심가치를 더욱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넷째, 행동기반에서 명확하게 수립해야 한다. 많은 병원들이 비전을 단지 비전 선포식을 위한 세레모니로 세우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직원들이 비전을 이루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비전을 이루기 위해 명확한 행동지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전을 BSC관점을 통해 다양하게 수립하여야 하며 결국 구체화 되지 못한 비전은 직원들이 공유하기가 어렵고 공유하기 어려운 비전을 달성하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