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서 마약류 처방 부주의 등 업무태만 지적
국립중앙의료원이 의무기록부를 미완성 상태로 방치하는 등 업무를 소홀히 해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용익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21일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102명의 의사가 총 3543건 의무기록부를 미완성 상태로 방치하는 등 의무기록 작성을 소홀히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수술기록은 진료 시점으로부터 최고 약 1년 2개월(443일)이 경과됐는데도 의무기록이 완성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원은 의사개인에 대한 제재조치는 커녕 의무기록 우수자로 31명을 선정해 포상금(670만원)을 지급하기도 했다.
또한 국립중앙의료원은 치료기간이 1회 3일까지로 제한된 하나인산코데인정 등 마약류 의약품을 1회 3일 이상 총 1804회에 걸쳐 외래환자에게 장기 처방해 왔으며, 13세 이상 성인에게만 사용토록 허가된 마약류 의약품을 10세 아동에게 2회나 투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의료원은 법정 감염병을 진단했을 경우 기한 내 신고하도록 돼 있으나, 1군 전염병인 장티푸스(신고기한: 즉시) 환자를 진단하고도 이에 대한 신고를 5일이나 지연하는 등 법정감염병 진단 327건 중 68건(20.7%)에 대해 늑장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용익 의원은 "우리나라 최고 공공의료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의무기록 작성 의무 위반, 마약류 처방 부주의 등의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수술기록은 진료 시점으로부터 최고 약 1년 2개월(443일)이 경과됐는데도 의무기록이 완성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원은 의사개인에 대한 제재조치는 커녕 의무기록 우수자로 31명을 선정해 포상금(670만원)을 지급하기도 했다.
또한 국립중앙의료원은 치료기간이 1회 3일까지로 제한된 하나인산코데인정 등 마약류 의약품을 1회 3일 이상 총 1804회에 걸쳐 외래환자에게 장기 처방해 왔으며, 13세 이상 성인에게만 사용토록 허가된 마약류 의약품을 10세 아동에게 2회나 투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의료원은 법정 감염병을 진단했을 경우 기한 내 신고하도록 돼 있으나, 1군 전염병인 장티푸스(신고기한: 즉시) 환자를 진단하고도 이에 대한 신고를 5일이나 지연하는 등 법정감염병 진단 327건 중 68건(20.7%)에 대해 늑장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용익 의원은 "우리나라 최고 공공의료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의무기록 작성 의무 위반, 마약류 처방 부주의 등의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