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A 게재 연구결과, 최종 10주간 위약군 대비 금연지속률 25.2%p 높아

이번 연구는 미네소타주 로체스터 소재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존 오 에버트(Jon O. Ebbert) 박사와 연구팀에서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대조, 10개국 61개 다기관 임상으로 진행했다.
한 달 이내로 금연할 의지가 없거나 금연할 수 없지만 3개월 후 금연할 목표를 가지고 서서히 흡연량을 줄이기로 결심한 흡연자 15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 연구에서 흡연자들은 4주까지 흡연량을 50% 이상, 8주까지 베이스 라인 대비 75%까지 줄이고, 12주에는 담배를 완전히 끊는 것을 목표로 24주간 치료를 받았으며, 52주까지 추적관찰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이번 연구의 1차 유효성 평가 변수(primary endpoint)인 치료기간 마지막 10주간(치료 시작 후 15~24주)의 금연지속률은 챔픽스를 투여 받은 경우 32.1%로 위약군 6.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2차 유효성 평가변수의 경우, 치료기간 마지막 4주(치료시작 후 21~24주) 금연지속률이 챔픽스 투여군에서 37.8%로 위약군 12.5%에 비해 높았으며, 21~52주동안 금연지속률 또한 챔픽스군 27%로 위약군 9.9%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챔픽스는 의료진의 진단과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여러 건의 임상연구 결과 12주 기준 금연 성공률이 40~50%대로 니코틴 대체제 및 부프로피온 등 다른 금연치료 옵션 대비 높은 금연치료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한국인 및 대만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에서는 12주 금연성공률이 약 60%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2주 장기 금연 지속률 데이터도도 확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