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BMB 투데이 3월호 집중조명…"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울산대병원은 1일 "생의과학연구소 윤병수 교수팀이 발표한 골다공증 원인 유전자 발굴 연구가 미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ASBMB)에서 발간하는 'ASBMB 투데이' 3월호 리서치 하이라이트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ASBMB 투데이는 JBC(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논문 중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치료제 가능성을 보이는 연구만 선택해 게재하는 저명 학술지이다.
윤병수 교수팀은 원광대 병원특성화사업단, 근골계질환센터와 공동으로 골다공증 원인인 세포 형성에 필요한 '프로그래뉼린', '파이로' 2개 유전자를 발굴했다.
윤 교수는 골다공증 원인인 다핵성파골세포 형성에 필수적인 2개 유전자를 인공적으로 조절해 다핵성파골세포를 죽이거나 세포융합 자체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기획 하에 실험을 진행했다.

윤병수 교수는 "전 세계 여성 3명 중 1명, 남성 5명 중 1명이 골다공증을 겪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결과를 응용해 부작용을 줄이고 골다공증 억제 효과는 높이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지난 1월 미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공식저널인 JBC(IF=5.808)에 게재돼 학문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