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과하기 십상인 황달, 자칫하면 담도폐쇄증 치료 놓친다
생후 2개월 된 지원(가명, 여아)이는 출생 후 눈의 흰자와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나타났다.
처음엔 신생아 때 있을 수 있는 단순 황달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 지원 엄마는 아기가 2주 넘게 황달이 멈추지 않고 지속되고 흰색 변을 계속적으로 보는 것을 확인하고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를 찾았다.
병원에서 피검사를 통해 아기의 간 수치와 황달 수치를 확인한 결과 황달 수치가 6.3으로 매우 높은 상태(신생아의 정상 황달 수치는 0.2~1.2mg/dL)였다.
또 흰 변을 보고난 뒤 황달 수치는 9까지 올라가 매우 위험한 상황이었다. 더구나 담낭 초음파검사를 한 결과 담낭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폐쇄된 상태였다.
'신생아 담도폐쇄증'으로 진단된 지원이는 곧바로 소아외과로 의뢰되어 박귀원 교수에 의해 생후 63일 만에 성공적으로 수술을 마쳐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었다.
신생아 황달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해 아기의 눈 흰자와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으로 생후 일주일 이내에 신생아의 60~80%에게서 관찰되었다가 일주일 안에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생리적 황달'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견되거나 2주 이상 지속될 때는 '병적 황달'로 의심하고 병원에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해야 한다.
중앙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임인석 교수는 "황달은 심한 경우, 아기의 신경 손상으로 뇌성마비, 청각 상실 등 신경학적인 장애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임 교수는 "집에서 아기를 관찰할 때에는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여 되도록 밝은 곳에서 아기의 옷을 벗긴 후 피부를 눌러 몸통까지 노랗게 되는 황달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주일 이상 오랫동안 지속되는 황달이라 하더라도 모유 수유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간질환 및 그 외 여러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지원이의 경우와 같이 간혹 '담도폐쇄'가 원인이 되어 황달이 발생해 자칫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담도폐쇄증'은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보내는 통로인 담관이 알 수 없는 원인으로 폐쇄되어 담즙이 소화관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척되면서 간에 손상을 줌으로써 심한 황달이 생기고 음식물이 담즙과 섞이지 않아 두부 같이 하얀 대변을 보면서 간경화로 진행된다.
중앙대병원 소아외과 박귀원 교수는 "아기가 황달이 있고 변을 하얗게 보아도 아기는 잘 자라며 건강하게 보이기 때문에 엄마나 소아과 의사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신생아 담도폐쇄'는 출생인구 1만~2만명 중에 한명정도 발생하며 발병원인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선천성 희귀질환으로, 생후 2주 후에도 지속되는 황달, 흰색 대변, 짙은 색 소변 등의 증상이 있으면 담도폐쇄증을 의심해보고 정밀검사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생후 2개월 이내에 수술 받는 것이 수술 후 경과에 있어 매우 중요한데 수술이 늦어지면 간이 손상되고 간경화로 진행되다가 간부전으로까지 이어져 수술을 받지 않으면 결국 생후 2세 이전에 사망에 이르게 된다.
담도폐쇄증 수술은 일반외과의사가 아닌 경험이 많은 소아외과 전문의가 망가진 담도와 담낭을 모두 절제하고 담도와 소장을 직접 연결하여 새로운 담도를 만들어 주는 일명 '카사이(Kasai) 수술'로 불리는데 이는 매우 어려운 수술로 알려져 있다.
'카사이 수술'은 국내에서 해당 수술을 시행할 수 있는 의사가 많지 않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숙련된 전문 소아외과 의사를 찾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수술을 반드시 해야 한다.
박귀원 교수는 "담도폐쇄증은 태아 때부터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수술시 연령이 어리면 어릴수록 수술 후 경과가 좋기 때문에 가능하면 생후 2개월 이내에 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황달이나 신생아 간염 등과 임상증상이 비슷해서 서로 감별하기가 쉽지 않고 감별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수술 시기가 늦어져 위험해 질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처음엔 신생아 때 있을 수 있는 단순 황달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 지원 엄마는 아기가 2주 넘게 황달이 멈추지 않고 지속되고 흰색 변을 계속적으로 보는 것을 확인하고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를 찾았다.
병원에서 피검사를 통해 아기의 간 수치와 황달 수치를 확인한 결과 황달 수치가 6.3으로 매우 높은 상태(신생아의 정상 황달 수치는 0.2~1.2mg/dL)였다.
또 흰 변을 보고난 뒤 황달 수치는 9까지 올라가 매우 위험한 상황이었다. 더구나 담낭 초음파검사를 한 결과 담낭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폐쇄된 상태였다.
'신생아 담도폐쇄증'으로 진단된 지원이는 곧바로 소아외과로 의뢰되어 박귀원 교수에 의해 생후 63일 만에 성공적으로 수술을 마쳐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었다.
신생아 황달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해 아기의 눈 흰자와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으로 생후 일주일 이내에 신생아의 60~80%에게서 관찰되었다가 일주일 안에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생리적 황달'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견되거나 2주 이상 지속될 때는 '병적 황달'로 의심하고 병원에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해야 한다.
중앙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임인석 교수는 "황달은 심한 경우, 아기의 신경 손상으로 뇌성마비, 청각 상실 등 신경학적인 장애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임 교수는 "집에서 아기를 관찰할 때에는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여 되도록 밝은 곳에서 아기의 옷을 벗긴 후 피부를 눌러 몸통까지 노랗게 되는 황달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주일 이상 오랫동안 지속되는 황달이라 하더라도 모유 수유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간질환 및 그 외 여러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지원이의 경우와 같이 간혹 '담도폐쇄'가 원인이 되어 황달이 발생해 자칫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담도폐쇄증'은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보내는 통로인 담관이 알 수 없는 원인으로 폐쇄되어 담즙이 소화관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척되면서 간에 손상을 줌으로써 심한 황달이 생기고 음식물이 담즙과 섞이지 않아 두부 같이 하얀 대변을 보면서 간경화로 진행된다.
중앙대병원 소아외과 박귀원 교수는 "아기가 황달이 있고 변을 하얗게 보아도 아기는 잘 자라며 건강하게 보이기 때문에 엄마나 소아과 의사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신생아 담도폐쇄'는 출생인구 1만~2만명 중에 한명정도 발생하며 발병원인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선천성 희귀질환으로, 생후 2주 후에도 지속되는 황달, 흰색 대변, 짙은 색 소변 등의 증상이 있으면 담도폐쇄증을 의심해보고 정밀검사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생후 2개월 이내에 수술 받는 것이 수술 후 경과에 있어 매우 중요한데 수술이 늦어지면 간이 손상되고 간경화로 진행되다가 간부전으로까지 이어져 수술을 받지 않으면 결국 생후 2세 이전에 사망에 이르게 된다.
담도폐쇄증 수술은 일반외과의사가 아닌 경험이 많은 소아외과 전문의가 망가진 담도와 담낭을 모두 절제하고 담도와 소장을 직접 연결하여 새로운 담도를 만들어 주는 일명 '카사이(Kasai) 수술'로 불리는데 이는 매우 어려운 수술로 알려져 있다.
'카사이 수술'은 국내에서 해당 수술을 시행할 수 있는 의사가 많지 않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숙련된 전문 소아외과 의사를 찾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수술을 반드시 해야 한다.
박귀원 교수는 "담도폐쇄증은 태아 때부터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수술시 연령이 어리면 어릴수록 수술 후 경과가 좋기 때문에 가능하면 생후 2개월 이내에 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황달이나 신생아 간염 등과 임상증상이 비슷해서 서로 감별하기가 쉽지 않고 감별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수술 시기가 늦어져 위험해 질수도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