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AACE/ADA·EASD/ENDO 가이드라인서 우선 권고
|분석|2015 AACE/ADA·EASD/ENDO 가이드라인 총정리
살 빠지는 당뇨병약으로 불리는 SGLT-2 억제제. 현재 국내는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가 급여 출시(2014년 9월)된 유일한 제품이다.
인슐린 비의존적, 체중 감소 등 타 당뇨병약과 차별화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SGLT-2 억제제. 올해 외국 가이드라인에서는 어떤 평가를 받고 있을까.
2015 미국임상내분비학회(AACE) 가이드라인
올해 AACE가 새로 업데이트해 발표한 '종합적인 당뇨병 관리 알고리듬(AACE/ACE Comprehensive Diabetes Management Algorithm 2015)'에서는 SGLT-2 억제제를 메트포르민 이후 단독요법은 물론 2∙3제 요법에서도 경구용 약제 중 DPP-4 억제제에 앞서 1순위로 권고했다.
[단독요법]
당화혈색소(A1C)가 7.5% 미만인 당뇨병 환자들에게는 생활요법과 함께 혈당강하제 단독요법 적용을 권고했다.
타 혈당강하제와 1차치료제로 포함된 SGLT-2 억제제는 경구용 약제 중, 메트포르민 이후 가장 우선시되는 약제로 권고됐다. 작용기전 상의 비뇨생식기 감염을 제외하고는 부작용이 적으며 잠재적 혜택이 있는 약재로 구분됐다.
*단독요법 시 권고 순서: 메트포르민 > GLP-1 수용체 작용제 > SGLT-2 억제제 > DPP-4억제제 > 알파글루시코다제 억제제 > 티아졸리딘디온계 > 설폰요소제 순
[2제요법]
단독요법에도 불구하고 3개월 이내에 혈당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A1C가 7.5% 이상일 경우 2제요법을 통한 약물치료를 권고했다.
특히 메트포르민 또는 여타 약제의 1차 선택에 이은 2차 선택 시에도 SGLT-2 억제제가 경구용 약제 중 가장 우선시되는 치료제로 명시됐다.
*2제요법 시 권고 순서: GLP-1 수용체 작용제 > SGLT-2 억제제 > DPP-4 억제제 > 티아졸리딘디온계 > 기저 인슐린 > 콜레세브이람 > 브로모크립틴 >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 설폰요소제 순
[3제요법]
2제 요법으로도 3개월 동안 A1C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3제 요법으로 전환을 권장했다.
3제 요법 약제 선택시에도 SGLT-2 억제제는 가장 선호되는 경구용 약제로 권고됐다.
*3제요법 시 권고 순서: GLP-1 수용체 작용제 > SGLT-2 억제제 > 티아졸리딘디온계 > 기저 인슐린 > DPP-4 억제제 > 콜레세브이람 > 브로모크립틴 >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 설폰요소제 순
2015 미국당뇨병학회(ADA)∙유럽당뇨병학회(EASD) 가이드라인
올초 'Diabetes Care'를 통해 업데이트된 '제2형 당뇨병 관리 가이드라인(Management of Hyperglycemia in Type 2 Diabetes, 2015)'에는 SGLT-2 억제제가 메트포르민 이후 2~3제 병용요법부터 사용 가능한 약물로 새로 포함됐다.
[2제 병용 치료 전략]
단독요법으로도 3개월 동안 A1C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타 약제를 병용·추가하는 2제 요법으로 전환하도록 권장한다.
이 경우 약제 특성에 따라 메트포르민을 보완할 수 있는 여타 계열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번 가이드라인에는 SGLT-2 억제제가 포함됐다. 기존은 설포닐우레아, 티아졸리딘디온, DPP-4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인슐린 등 5종이었다.
[3제 병용 치료 전략]
2제 요법으로도 3개월 동안 A1C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3제 요법으로 전환을 권장했다.
SGLT-2 억제제는 GLP-1 수용체를 제외한 모든 약제와 3제 요법이 가능한 약물로도 추가됐다.
2015 미국내분비학회(ENDO) 가이드라인
ENDO의 2015 비만에 대한 약물 치료 가이드라인에서는 제2형 당뇨병을 가진 과체중 혹은 비만 환자의 약물 치료 시, 1차 치료제 메트포르민과 병용할 약물로 GLP-1 유사체, SGLT-2 억제제와 같은 체중감량의 영향이 있는 약물을 권장한다고 제시했다.
살 빠지는 당뇨병약으로 불리는 SGLT-2 억제제. 현재 국내는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가 급여 출시(2014년 9월)된 유일한 제품이다.
인슐린 비의존적, 체중 감소 등 타 당뇨병약과 차별화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SGLT-2 억제제. 올해 외국 가이드라인에서는 어떤 평가를 받고 있을까.
2015 미국임상내분비학회(AACE) 가이드라인
올해 AACE가 새로 업데이트해 발표한 '종합적인 당뇨병 관리 알고리듬(AACE/ACE Comprehensive Diabetes Management Algorithm 2015)'에서는 SGLT-2 억제제를 메트포르민 이후 단독요법은 물론 2∙3제 요법에서도 경구용 약제 중 DPP-4 억제제에 앞서 1순위로 권고했다.
[단독요법]
당화혈색소(A1C)가 7.5% 미만인 당뇨병 환자들에게는 생활요법과 함께 혈당강하제 단독요법 적용을 권고했다.
타 혈당강하제와 1차치료제로 포함된 SGLT-2 억제제는 경구용 약제 중, 메트포르민 이후 가장 우선시되는 약제로 권고됐다. 작용기전 상의 비뇨생식기 감염을 제외하고는 부작용이 적으며 잠재적 혜택이 있는 약재로 구분됐다.
*단독요법 시 권고 순서: 메트포르민 > GLP-1 수용체 작용제 > SGLT-2 억제제 > DPP-4억제제 > 알파글루시코다제 억제제 > 티아졸리딘디온계 > 설폰요소제 순
[2제요법]
단독요법에도 불구하고 3개월 이내에 혈당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A1C가 7.5% 이상일 경우 2제요법을 통한 약물치료를 권고했다.
특히 메트포르민 또는 여타 약제의 1차 선택에 이은 2차 선택 시에도 SGLT-2 억제제가 경구용 약제 중 가장 우선시되는 치료제로 명시됐다.
*2제요법 시 권고 순서: GLP-1 수용체 작용제 > SGLT-2 억제제 > DPP-4 억제제 > 티아졸리딘디온계 > 기저 인슐린 > 콜레세브이람 > 브로모크립틴 >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 설폰요소제 순
[3제요법]
2제 요법으로도 3개월 동안 A1C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3제 요법으로 전환을 권장했다.
3제 요법 약제 선택시에도 SGLT-2 억제제는 가장 선호되는 경구용 약제로 권고됐다.
*3제요법 시 권고 순서: GLP-1 수용체 작용제 > SGLT-2 억제제 > 티아졸리딘디온계 > 기저 인슐린 > DPP-4 억제제 > 콜레세브이람 > 브로모크립틴 >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 설폰요소제 순
2015 미국당뇨병학회(ADA)∙유럽당뇨병학회(EASD) 가이드라인
올초 'Diabetes Care'를 통해 업데이트된 '제2형 당뇨병 관리 가이드라인(Management of Hyperglycemia in Type 2 Diabetes, 2015)'에는 SGLT-2 억제제가 메트포르민 이후 2~3제 병용요법부터 사용 가능한 약물로 새로 포함됐다.
[2제 병용 치료 전략]
단독요법으로도 3개월 동안 A1C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타 약제를 병용·추가하는 2제 요법으로 전환하도록 권장한다.
이 경우 약제 특성에 따라 메트포르민을 보완할 수 있는 여타 계열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번 가이드라인에는 SGLT-2 억제제가 포함됐다. 기존은 설포닐우레아, 티아졸리딘디온, DPP-4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인슐린 등 5종이었다.
[3제 병용 치료 전략]
2제 요법으로도 3개월 동안 A1C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3제 요법으로 전환을 권장했다.
SGLT-2 억제제는 GLP-1 수용체를 제외한 모든 약제와 3제 요법이 가능한 약물로도 추가됐다.
2015 미국내분비학회(ENDO) 가이드라인
ENDO의 2015 비만에 대한 약물 치료 가이드라인에서는 제2형 당뇨병을 가진 과체중 혹은 비만 환자의 약물 치료 시, 1차 치료제 메트포르민과 병용할 약물로 GLP-1 유사체, SGLT-2 억제제와 같은 체중감량의 영향이 있는 약물을 권장한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