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긴급심포지엄 "공중보건인력 양성, 보건복지부 분리" 주장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사태에서 낙타보다 더 좋은 숙주는 대한민국 보건의료체계다."
예방의학 전문가들은 메르스 사태를 통해 대한민국 보건의료체계의 문제점이 모두 드러났으며 공중보건 및 의료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새누리당 신상진 의원은 대한예방의학회, 한국역학회와 26일 서울 국회에서 '메르스 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보건의료 발전 방안'을 주제로 긴급 심포지엄을 열었다.
한림의대 예방의학과 김동현 교수는 "메르스는 이미 3~4년 전 알려졌다. 메르스가 낯설고 모른다고 하지만 우리만 몰랐다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사우디에서 메르스 유행이 있었는데, 이 중 60%가 병원 내 감염이 문제라고 보고했다. 2013년 NEJM에도 메르스는 같은 병동에 있는 환자를 팔로우해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이 실렸다.
김 교수는 "이미 국제사회에서는 메르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우리가 모두 놓쳤던 부분들이다. 그를 따라가지 못했다"며 "메르스 확산의 일차적 원인은 바이러스에 있는게 아니라 우리나라 보건의료환경에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공중보건인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역학조사관이 34명 밖에 없다. 모두 공중보건의사다. 미국은 해마다 100여명 이상 역학조사관을 양성하고 있다. 이들은 2년의 교육과정을 거친다. 감염병 조사에 국한된 게 아니라 기본 역학적인 능력을 갖고 있는 전문가를 키워내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공중보건의로 대체하는 것은 더이상 수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공중보건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그 안에 역학조사관이 있는 것"이라며 "의대 교육에서부터 공중보건 과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인력이 가장 중요하다. 공중보건 전사를 키워야 한다"며 "정부는 공중보건전문인력의 대우에 대한 문제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박은철 교수는 보건복지부를 보건부와 복지부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박 교수는 "법무부, 국방부 장관은 그들이 관장할 수 있는 직업군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런데 보건복지부 장관은 아닌 것 같다"며 "조직을 분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꼭 필요한 부서를 신설한다고 가정하면 총 3실 3국 10과가 나온다. 과는 현재보다 3개 밖에 안늘어나고, 본부 인력은 25명이 추가된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가 제시한 안에 따르면 예산은 현재보다 2000억원이 더 늘어난다.
예방의학 전문가들은 메르스 사태를 통해 대한민국 보건의료체계의 문제점이 모두 드러났으며 공중보건 및 의료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새누리당 신상진 의원은 대한예방의학회, 한국역학회와 26일 서울 국회에서 '메르스 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보건의료 발전 방안'을 주제로 긴급 심포지엄을 열었다.
한림의대 예방의학과 김동현 교수는 "메르스는 이미 3~4년 전 알려졌다. 메르스가 낯설고 모른다고 하지만 우리만 몰랐다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사우디에서 메르스 유행이 있었는데, 이 중 60%가 병원 내 감염이 문제라고 보고했다. 2013년 NEJM에도 메르스는 같은 병동에 있는 환자를 팔로우해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이 실렸다.
김 교수는 "이미 국제사회에서는 메르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우리가 모두 놓쳤던 부분들이다. 그를 따라가지 못했다"며 "메르스 확산의 일차적 원인은 바이러스에 있는게 아니라 우리나라 보건의료환경에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공중보건인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역학조사관이 34명 밖에 없다. 모두 공중보건의사다. 미국은 해마다 100여명 이상 역학조사관을 양성하고 있다. 이들은 2년의 교육과정을 거친다. 감염병 조사에 국한된 게 아니라 기본 역학적인 능력을 갖고 있는 전문가를 키워내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공중보건의로 대체하는 것은 더이상 수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공중보건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그 안에 역학조사관이 있는 것"이라며 "의대 교육에서부터 공중보건 과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인력이 가장 중요하다. 공중보건 전사를 키워야 한다"며 "정부는 공중보건전문인력의 대우에 대한 문제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박은철 교수는 보건복지부를 보건부와 복지부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박 교수는 "법무부, 국방부 장관은 그들이 관장할 수 있는 직업군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런데 보건복지부 장관은 아닌 것 같다"며 "조직을 분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꼭 필요한 부서를 신설한다고 가정하면 총 3실 3국 10과가 나온다. 과는 현재보다 3개 밖에 안늘어나고, 본부 인력은 25명이 추가된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가 제시한 안에 따르면 예산은 현재보다 2000억원이 더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