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지원 PACS 도입율 확대…빅데이터 시범사업 추진
시간을 거슬러 5년 전.
2010년 4월 18일부터 21일까지 중국 심천(Shenzhen)에서 열린 '중국국제의료기기전시회'(CMEF 2010)에서 중국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업체를 찾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2005년 즈음 이미 'Filmless Hospital' 시대를 맞이한 한국보다 PACS 도입은 늦었지만 약 10배 가까이 많은 의료기관을 감안할 때 중국 PACS시장은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됐다.
하지만 5년이 지난 올해 중국 우한(Wuhan)에서 열린 CMEF 2015 전시장에서는 좀처럼 PACS업체를 볼 수 없었다.
그간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전시장 곳곳을 뒤져 어렵사리 중국 PACS업체 'JINYUAN'社를 발견했다.
이 회사 왕 레이 기술담당자를 통해 궁금증을 풀 수 있었다.
그에게 물었다. "PACS 출품업체를 찾아 볼 수가 없다. 업체들이 망한 것인가?"
돌아온 답변은 이랬다.
"2012년·2013년까지는 CMEF에서 PACS를 홍보하는 회사들이 많았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PACS 도입병원에 지원금을 주면서 업체들이 따로 홍보를 하지 않아도 잘 팔리기 때문에 전시회에 참가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1999년 PACS 수가 적용을 계기로 2000년 의약분업부터 2005년까지 수많은 병원들이 PACS를 도입한 한국과 닮은꼴이다.
현재 중국 PACS업체는 수십 곳에 달한다고 한다. GE헬스케어·필립스·지멘스 같은 다국적기업 또한 여전히 PACS를 공급하고 있다.
왕 레이 기술담당자가 몸담고 있는 JINYUAN社 병원 고객은 약 200곳.
한국 초창기 PACS시장과 마찬가지로 수십 개 로컬업체가 난립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결코 적지 않은 고객병원이다.
중국 병원들의 PACS 도입율이 궁금했다.
그는 "정확한 수치는 잘 모르겠다. 중국은 행정구역상 성·시·현·진이 있는데 일부 낙후된 서부지역을 제외한 대다수지역 현급 이상 의료기관은 PACS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으로 발전된 동부 연해지역은 현급 아래 진급 병원까지도 PACS를 도입한 상태"라고도 했다.
정부가 나서 병원 PACS 보급률을 끌어올린 중국은 과연 병원 간 환자 의료영상 공유가 이뤄지고 있을까?
이미 2010년 기준 상급종합병원 PACS 보급률이 127.3%로 포화상태를 넘어선 한국의 경우 여전히 병원 간 환자 의료영상 전송·공유가 요원한 상태인 반면 의료서비스 질, 병원정보화, 의료비 절감, 빅데이터(Big Data) 활용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중국은 다르지 않을까 싶었다.
왕 레이는 "병원과 병원이 환자 의료영상 전송 및 공유를 체결한 경우에는 가능하지만 그런 사례가 많지는 않다"고 귀띔했다.
CMEF 2015 현장에서 만난 방사선필름 자동프린터장비업체 관계자 역시 "중국 의료기관의 PACS 도입율이 높아진 건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인터넷이 덜 발달했고 병원 간 네트워크도 미흡해 환자 의료영상 공유는 원활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중국 환자들은 한국처럼 본인 의료영상을 CD에 담아가는 일이 매우 드물다. 대부분은 필름으로 가져간다"며 "이는 과거 PACS가 없었던 시절부터 이어진 오래된 습관 때문"이라고 했다.
중국에서 병원 간 환자 의료영상 공유가 원활하지 않은 이유는 법적 규제보다는 오히려 외부적인 요인, 즉 영상진단장비의 디지털화 및 병원 간 컴퓨터 네트워크 구축이 미흡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오히려 한국보다 중국에서 병원 간 환자 진료정보 교류와 공유가 가능한 EHR(Electronic Health Record·전자건강기록) 시스템이 먼저 실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왕 레이 기술담당자가 소개한 중국 정부의 빅데이터 시범사업은 EHR 시스템 구축을 놓고 10년간 아무런 진전이 없는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그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빅데이터 개념을 도입해 귀주성(Guizhou) 귀양시(Guiyang)에 데이터 센터를 처음으로 세웠다"고 전했다.
이어 "이곳에서는 국민들의 진료기록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데이터 센터에는 환자의 질병기록은 물론 어떤 의사한테 진료를 받았고 무슨 장비로 영상을 촬영하고 검사를 받았는지, 또 결과는 어땠는지 등 모든 진료정보를 저장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를 잘 활용하면 환자가 다른 지역 병원에 가더라도 손쉽게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부와 의료계 간 원격진료(Telemedicine) 논란에 대해 의료IT 전문가인 그의 의견을 듣고 싶었다.
왕 웨이 기술담당자는 중국에서의 원격진료를 의사와 환자 간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살고 있는 지역의 급이 낮은 병원 의사와 원격지 급이 높은 병원 의사가 환자에 대해 자문을 구하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즉, 한국에서 의료법상 허용되는 의사와 의사 간 원격진료와 다름없다.
왕 웨이는 "원격진료의 가장 이상적인 상황은 급이 낮은 병원 환자의 정보를 급이 높은 병원 의사와 공유해 실시간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인적인 의견으로 한국 의사들이 의사와 환자 간 원격진료를 반대하는 이유는 의사 입장에서 영상과 생체정보만으로 환자를 진단하는 건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의사는 환자를 직접 보면서 진단하고 소통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강하기 때문에 한국 의사들이 의사와 환자 간 원격진료를 반대하는 것 같다"고 의견을 내놓았다.
2010년 4월 18일부터 21일까지 중국 심천(Shenzhen)에서 열린 '중국국제의료기기전시회'(CMEF 2010)에서 중국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업체를 찾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2005년 즈음 이미 'Filmless Hospital' 시대를 맞이한 한국보다 PACS 도입은 늦었지만 약 10배 가까이 많은 의료기관을 감안할 때 중국 PACS시장은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됐다.
하지만 5년이 지난 올해 중국 우한(Wuhan)에서 열린 CMEF 2015 전시장에서는 좀처럼 PACS업체를 볼 수 없었다.
그간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전시장 곳곳을 뒤져 어렵사리 중국 PACS업체 'JINYUAN'社를 발견했다.
이 회사 왕 레이 기술담당자를 통해 궁금증을 풀 수 있었다.
그에게 물었다. "PACS 출품업체를 찾아 볼 수가 없다. 업체들이 망한 것인가?"
돌아온 답변은 이랬다.
"2012년·2013년까지는 CMEF에서 PACS를 홍보하는 회사들이 많았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PACS 도입병원에 지원금을 주면서 업체들이 따로 홍보를 하지 않아도 잘 팔리기 때문에 전시회에 참가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1999년 PACS 수가 적용을 계기로 2000년 의약분업부터 2005년까지 수많은 병원들이 PACS를 도입한 한국과 닮은꼴이다.
현재 중국 PACS업체는 수십 곳에 달한다고 한다. GE헬스케어·필립스·지멘스 같은 다국적기업 또한 여전히 PACS를 공급하고 있다.
왕 레이 기술담당자가 몸담고 있는 JINYUAN社 병원 고객은 약 200곳.
한국 초창기 PACS시장과 마찬가지로 수십 개 로컬업체가 난립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결코 적지 않은 고객병원이다.
중국 병원들의 PACS 도입율이 궁금했다.
그는 "정확한 수치는 잘 모르겠다. 중국은 행정구역상 성·시·현·진이 있는데 일부 낙후된 서부지역을 제외한 대다수지역 현급 이상 의료기관은 PACS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으로 발전된 동부 연해지역은 현급 아래 진급 병원까지도 PACS를 도입한 상태"라고도 했다.
정부가 나서 병원 PACS 보급률을 끌어올린 중국은 과연 병원 간 환자 의료영상 공유가 이뤄지고 있을까?
이미 2010년 기준 상급종합병원 PACS 보급률이 127.3%로 포화상태를 넘어선 한국의 경우 여전히 병원 간 환자 의료영상 전송·공유가 요원한 상태인 반면 의료서비스 질, 병원정보화, 의료비 절감, 빅데이터(Big Data) 활용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중국은 다르지 않을까 싶었다.
왕 레이는 "병원과 병원이 환자 의료영상 전송 및 공유를 체결한 경우에는 가능하지만 그런 사례가 많지는 않다"고 귀띔했다.
CMEF 2015 현장에서 만난 방사선필름 자동프린터장비업체 관계자 역시 "중국 의료기관의 PACS 도입율이 높아진 건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인터넷이 덜 발달했고 병원 간 네트워크도 미흡해 환자 의료영상 공유는 원활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중국 환자들은 한국처럼 본인 의료영상을 CD에 담아가는 일이 매우 드물다. 대부분은 필름으로 가져간다"며 "이는 과거 PACS가 없었던 시절부터 이어진 오래된 습관 때문"이라고 했다.
중국에서 병원 간 환자 의료영상 공유가 원활하지 않은 이유는 법적 규제보다는 오히려 외부적인 요인, 즉 영상진단장비의 디지털화 및 병원 간 컴퓨터 네트워크 구축이 미흡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오히려 한국보다 중국에서 병원 간 환자 진료정보 교류와 공유가 가능한 EHR(Electronic Health Record·전자건강기록) 시스템이 먼저 실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왕 레이 기술담당자가 소개한 중국 정부의 빅데이터 시범사업은 EHR 시스템 구축을 놓고 10년간 아무런 진전이 없는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그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빅데이터 개념을 도입해 귀주성(Guizhou) 귀양시(Guiyang)에 데이터 센터를 처음으로 세웠다"고 전했다.
이어 "이곳에서는 국민들의 진료기록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데이터 센터에는 환자의 질병기록은 물론 어떤 의사한테 진료를 받았고 무슨 장비로 영상을 촬영하고 검사를 받았는지, 또 결과는 어땠는지 등 모든 진료정보를 저장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를 잘 활용하면 환자가 다른 지역 병원에 가더라도 손쉽게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부와 의료계 간 원격진료(Telemedicine) 논란에 대해 의료IT 전문가인 그의 의견을 듣고 싶었다.
왕 웨이 기술담당자는 중국에서의 원격진료를 의사와 환자 간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살고 있는 지역의 급이 낮은 병원 의사와 원격지 급이 높은 병원 의사가 환자에 대해 자문을 구하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즉, 한국에서 의료법상 허용되는 의사와 의사 간 원격진료와 다름없다.
왕 웨이는 "원격진료의 가장 이상적인 상황은 급이 낮은 병원 환자의 정보를 급이 높은 병원 의사와 공유해 실시간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인적인 의견으로 한국 의사들이 의사와 환자 간 원격진료를 반대하는 이유는 의사 입장에서 영상과 생체정보만으로 환자를 진단하는 건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의사는 환자를 직접 보면서 진단하고 소통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강하기 때문에 한국 의사들이 의사와 환자 간 원격진료를 반대하는 것 같다"고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