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 허승호 교수팀, 심장동맥질환 4명 시술
동산병원 심장내과 허승호, 남창욱, 윤혁준, 조윤경 교수진은 최근 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한 4명의 환자에게 생체 흡수형 심장 스텐트 시술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생체 흡수형 심장 스텐트 시술은 지난 달 서울의 일부 대형병원이 시행한 이후 지역에서는 최초 사례다.
스텐트 시술은 혈관 내 혈전이 쌓여 좁아진 부분을 넓혀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시술로 이 때 사용되는 의료용 튜브가 스텐트이다.
기존의 스텐트는 금속 재질로 되어 있으며 지난 20년간 심장혈관 치료의 표준으로 이용돼 왔다.
하지만 심장혈관에 금속 스텐트를 장착하게 되면 다시 뺄 수 없어 재발할 경우에는 재시술이나 수술적 치료가 제한이 있다.
또 잔존한 철망으로 인해 평생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항혈소판제 약물을 복용해야 했으며, 재협착 또한 문제로 남아 있었다.
이번에 시술한 생체 흡수형 심장 스텐트는 몸에 녹는 봉합사와 같은 원리로 스텐트를 삽입한 후 3년이 지나면 스텐트가 모두 녹아 자연적으로 혈관에 흡수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해 기존 금속 스텐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심장동맥질환에 대한 장기 약물 의존도를 낮출 수 있게 되었다.
결국 스텐트 시술을 받고도 혈관 내에 스텐트 혹은 시술 잔여물이 남지 않고 약물에 대한 장기 의존을 줄일 수 있어서 스텐트 시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것.
혈관의 기능이 자연스럽게 회복되며 스텐트 시술이후 장기 합병증에 대한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됐다.
심장내과 허승호 교수는 "생체 흡수형 심장스텐트로 전세계 12만 5천명 이상의 심장병 환자들이 치료를 받았고 이미 그 효과와 안정성이 입증됐다"며 "스텐트를 넣은 부위에 병이 재발하더라도 재시술이나 다양한 수술이 가능해져 관상동맥 질환자들에게는 또다른 좋은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