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학회, 전국 병원 현황 조사…"지역 불균형 심각"
초기 치료가 중요한 뇌졸중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이 지역별로 심각한 불균형 상태에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일부 지방의 경우 서울의 반의 반 밖에 병원이 없어 환자들이 즉각적인 처치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
대한뇌졸중학회는 최근 우리나라 뇌졸중 진료 병원 현황을 조사하고 17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국내 140개 병원 중 44.6%인 62개 병원이 뇌졸중전문치료실을 운영하고 있었으니 이 중 58%에 달하는 36개 치료실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17개 권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인구 100만명당 뇌졸중 전문 치료실 설치율은 서울이 2.01개로 가장 높았고 대구, 제주 권역이 1.51-2개소, 인천, 경기, 강원, 대전, 광주, 전남, 경남이 1.01-1.5개소로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부산과 충북 권역은 0.51-1개소에 불과했고 울산과 경북, 충남 지역은 0-0.50개소를 기록해 지역별로 심한 격차를 보였다.
이로 인해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도 지역 간 격차가 여실히 드러났다.
대한뇌졸중학회가 전국 251개 시·구·군의 3년(2011년에서 2013년)간 평균 뇌졸중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가장 낮은 지역과 가장 높은 지역의 차이가 인구 10만명당 27명(서울특별시)과 44명(울산광역시)으로 약 1.6배의 차이를 보였다.
구ž군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그 차이는 더 커져 사망률이 가장 낮은 서울시 서초구는 10만명당 19명을 기록한 반면 가장 높은 경상남도 고성군은 57명에 달해 지역간 편차가 최대 3배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는 이유는 대부분이 자원 부족 현상 때문이었다. 대부분 병원이 뇌졸중 치료실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정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뇌졸중 치료실을 운영하지 못하는 이유를 묻자 78.4%가 인적 자원 부족 때문이라고 답했고 별도 수가 부재(64.0%), 공간 부족(44.6%)등 행정적ž경영적 요인을 꼽았다.
대한뇌졸중학회 정진상 이사장(성균관의대)은 "전세계적으로 뇌졸중 전문 치료실을 확대해 초급성기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역적 불균형은 지역 간 의료 서비스의 격차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회는 뇌졸중 전문 치료실의 지역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일차)뇌졸중센터를 설립하는 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효율적인 뇌졸중센터의 운영을 위해 119 및 응급환자 이송시스템과의 연계 및 지역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정 이사장은 "지역 뇌졸중 센터에 전문화된 민간 독립기구에서의 인증방식 도입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며 "서열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심평원 뇌졸중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재검토와 시정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 지방의 경우 서울의 반의 반 밖에 병원이 없어 환자들이 즉각적인 처치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
대한뇌졸중학회는 최근 우리나라 뇌졸중 진료 병원 현황을 조사하고 17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국내 140개 병원 중 44.6%인 62개 병원이 뇌졸중전문치료실을 운영하고 있었으니 이 중 58%에 달하는 36개 치료실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17개 권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인구 100만명당 뇌졸중 전문 치료실 설치율은 서울이 2.01개로 가장 높았고 대구, 제주 권역이 1.51-2개소, 인천, 경기, 강원, 대전, 광주, 전남, 경남이 1.01-1.5개소로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부산과 충북 권역은 0.51-1개소에 불과했고 울산과 경북, 충남 지역은 0-0.50개소를 기록해 지역별로 심한 격차를 보였다.
이로 인해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도 지역 간 격차가 여실히 드러났다.
대한뇌졸중학회가 전국 251개 시·구·군의 3년(2011년에서 2013년)간 평균 뇌졸중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가장 낮은 지역과 가장 높은 지역의 차이가 인구 10만명당 27명(서울특별시)과 44명(울산광역시)으로 약 1.6배의 차이를 보였다.
구ž군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그 차이는 더 커져 사망률이 가장 낮은 서울시 서초구는 10만명당 19명을 기록한 반면 가장 높은 경상남도 고성군은 57명에 달해 지역간 편차가 최대 3배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는 이유는 대부분이 자원 부족 현상 때문이었다. 대부분 병원이 뇌졸중 치료실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정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뇌졸중 치료실을 운영하지 못하는 이유를 묻자 78.4%가 인적 자원 부족 때문이라고 답했고 별도 수가 부재(64.0%), 공간 부족(44.6%)등 행정적ž경영적 요인을 꼽았다.
대한뇌졸중학회 정진상 이사장(성균관의대)은 "전세계적으로 뇌졸중 전문 치료실을 확대해 초급성기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역적 불균형은 지역 간 의료 서비스의 격차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회는 뇌졸중 전문 치료실의 지역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일차)뇌졸중센터를 설립하는 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효율적인 뇌졸중센터의 운영을 위해 119 및 응급환자 이송시스템과의 연계 및 지역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정 이사장은 "지역 뇌졸중 센터에 전문화된 민간 독립기구에서의 인증방식 도입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며 "서열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심평원 뇌졸중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재검토와 시정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