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회 임원 아카데미서 협조 눈길…의료일원화도 참여 당부
3일 대한의학회 주최로 열린 의학회 임원 아카데미에서도 전공의 특별법 입법화는 이슈가 됐다.

추무진 의협회장
특히 대한의사협회 추무진 회장은 이날 행사에 참여한 의과대학 교수들 앞에서 전공의 특별법이 의료 현장에서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며 요청해 눈길을 끌었다.
추무진 회장은 "전공의 특별법은 환자 안전을 위한 길인 만큼 반드시 시행돼야한다"며 법 제정 의미를 강조했다.
특히 추 회장은 특별법의 가장 큰 소득은 전공의 교육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명시했다는 점과 수련환경 평가에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포함됐다는 점을 꼽았다.
다만 그는 의과대학 및 병원계 우려를 염두에 둔 듯 한마디 덧붙였다.
그는 "특별법과 관련해 의과대학 교수들의 많은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직접 제자를 교육하는 입장에서 시간이 감소하니 현실적인 문제가 많을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병원협회는 물론 병원계가 우려하는 것을 감안해 추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추 회장은 이와 더불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의료일원화에 대해서도 의과대학 교수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추후에 교과과정 통합 더 나아가 면허제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의대 교수들도 함께 해달라는 얘기다.
그는 "의대와 한의대는 교육제도 통합이 진행돼야 한다"며 "이곳에 있는 의과대학 교수 주축으로 만들어가야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의대-한의대 통합교육에 이어 면허제도를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적극적으로 관여해달라"며 "이는 후배들을 위한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축사에 나선 대한민국의학한림원 남궁성은 회장도 "전공의 특별법이 통과했다는 희소식을 들었다"며 "이를 계기로 의사가 국민들에게 존경받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추무진 회장은 "전공의 특별법은 환자 안전을 위한 길인 만큼 반드시 시행돼야한다"며 법 제정 의미를 강조했다.
특히 추 회장은 특별법의 가장 큰 소득은 전공의 교육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명시했다는 점과 수련환경 평가에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포함됐다는 점을 꼽았다.
다만 그는 의과대학 및 병원계 우려를 염두에 둔 듯 한마디 덧붙였다.
그는 "특별법과 관련해 의과대학 교수들의 많은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직접 제자를 교육하는 입장에서 시간이 감소하니 현실적인 문제가 많을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병원협회는 물론 병원계가 우려하는 것을 감안해 추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추 회장은 이와 더불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의료일원화에 대해서도 의과대학 교수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추후에 교과과정 통합 더 나아가 면허제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의대 교수들도 함께 해달라는 얘기다.
그는 "의대와 한의대는 교육제도 통합이 진행돼야 한다"며 "이곳에 있는 의과대학 교수 주축으로 만들어가야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의대-한의대 통합교육에 이어 면허제도를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적극적으로 관여해달라"며 "이는 후배들을 위한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축사에 나선 대한민국의학한림원 남궁성은 회장도 "전공의 특별법이 통과했다는 희소식을 들었다"며 "이를 계기로 의사가 국민들에게 존경받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