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내년도 5323억원 R&D 계획 확정…감염병·암·유전체 지원 '강화'
내년도 보건의료 R&D 예산이 암 진단과 의료비 절감, 한의학 표준화 등 성과 중심 사업에 집중 투자된다.
반면, 노벨상을 겨냥한 의과학자 양성과 저출산 대응 등 중장기적 의료분야 투자는 축소했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28일 "최근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김선영 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를 열고 2016년도 복지부 R&D 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2016년도 복지부 R&D 전체 예산은 2015년 예산(5246억원) 대비 76억원(1.4%) 늘어난 5323억원이다.
시행계획 대상은 질환극복 기술개발과 임상연구 인프라조성사업 등 26개 사업, 4570억원 규모로 신규과제 926억원과 계속과제 3644억원이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실용화 성과를 강화하고, R&D 관리 효율성을 높이면서 미래유망기술 분야 투자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질환극복 연구강화(Healing)에 1321억이 투자된다.
앞으로 5년 이후 암 예방과 진단, 치료법을 바꿀 수 있는 5가지 연구주제 집중지원 전략(신규 139억원, 암센터)을 비롯해 임상현장 연구자 수요형 질병중심 중개연구(신규 72억원)와 환자안전 관련 연구활성화(신규 10억원) 그리고 한의약 과학화와 표준화, 제품화(신규 41억원) 등을 배치했다.
첨단의료 조기실현 신산업 창출 연구(Economy)에 1723억원을 사용한다.
유전체 이행연구 등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신규 90.9억원)을 포함해 허가용 신약개발 비임상, 임상시험(신규 42억원)과 범부처 전주기 신약(48.8억원), 의료기기 임상시험(신규 26억원), 줄기세포 및 재생의료 임상근거 확보 및 실용화(신규 45억원) 등을 집중 투자한다.
보건복지 위기대응 R&D 투자(Alert)와 건강증진 투자도 각각 525억원과 158억원으로 강화했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신규 115.7억원)과 메르스 감염병관리(신규 40억원, 질본) 및 의료비 전달체계 개선 및 의료비 절감 모델 적용(신규 23.2억원) 등에 집중한다.
끝으로 연구자 친화적 생태계 조성(TogetHer)에 854억원을 투입한다.
중개와 임상연구 플랫폼 구축 등 연구중심병원 육성(37.5억원)과 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련 혁신적 아이디어 및 연구성과 상품화 촉진 연구개발 지원(신규 44.9억원, 첨단의료산업재단), 보건의로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신규 18.7억원) 지원을 강화한다.
하지만 노벨상 수상자 배출을 목표로 시작된 세계선도 의생명과학자 육성과 국제협력 교류 등 연구역량 강화 지원 사업은 3억 7000만원 지원에 그쳤다.
더불어 정부와 의료계 최대 현안인 저출산 등 사회구조 변화 대응과 맞춤형 서비스 개발과 지원전략 수립에 8억원을, 치매 등 정신질환 만성화 조기진단 및 치료 표준화 기술개발에 4억 8300만원을 배치해 소극적 투자라는 지적이다.
보건의료기술개발과(과장 정영기) 관계자는 "내년도 실용화 성과를 강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미래유망 기술 분야 투자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면서 "감염병 위기대응과 국가 R&D 공공성과 책임성 확대, 미래유망분야 신시장 창출 및 기술선점을 도모했다"고 평가했다.
복지부는 2016년 1월 사업공고와 접수를 마친 후 3월까지 평가를 통해 4월 중 연구자 선정으로 보건의료 R&D 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반면, 노벨상을 겨냥한 의과학자 양성과 저출산 대응 등 중장기적 의료분야 투자는 축소했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28일 "최근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김선영 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를 열고 2016년도 복지부 R&D 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2016년도 복지부 R&D 전체 예산은 2015년 예산(5246억원) 대비 76억원(1.4%) 늘어난 5323억원이다.
시행계획 대상은 질환극복 기술개발과 임상연구 인프라조성사업 등 26개 사업, 4570억원 규모로 신규과제 926억원과 계속과제 3644억원이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실용화 성과를 강화하고, R&D 관리 효율성을 높이면서 미래유망기술 분야 투자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질환극복 연구강화(Healing)에 1321억이 투자된다.
앞으로 5년 이후 암 예방과 진단, 치료법을 바꿀 수 있는 5가지 연구주제 집중지원 전략(신규 139억원, 암센터)을 비롯해 임상현장 연구자 수요형 질병중심 중개연구(신규 72억원)와 환자안전 관련 연구활성화(신규 10억원) 그리고 한의약 과학화와 표준화, 제품화(신규 41억원) 등을 배치했다.
첨단의료 조기실현 신산업 창출 연구(Economy)에 1723억원을 사용한다.
유전체 이행연구 등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신규 90.9억원)을 포함해 허가용 신약개발 비임상, 임상시험(신규 42억원)과 범부처 전주기 신약(48.8억원), 의료기기 임상시험(신규 26억원), 줄기세포 및 재생의료 임상근거 확보 및 실용화(신규 45억원) 등을 집중 투자한다.
보건복지 위기대응 R&D 투자(Alert)와 건강증진 투자도 각각 525억원과 158억원으로 강화했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신규 115.7억원)과 메르스 감염병관리(신규 40억원, 질본) 및 의료비 전달체계 개선 및 의료비 절감 모델 적용(신규 23.2억원) 등에 집중한다.
끝으로 연구자 친화적 생태계 조성(TogetHer)에 854억원을 투입한다.
중개와 임상연구 플랫폼 구축 등 연구중심병원 육성(37.5억원)과 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련 혁신적 아이디어 및 연구성과 상품화 촉진 연구개발 지원(신규 44.9억원, 첨단의료산업재단), 보건의로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신규 18.7억원) 지원을 강화한다.
하지만 노벨상 수상자 배출을 목표로 시작된 세계선도 의생명과학자 육성과 국제협력 교류 등 연구역량 강화 지원 사업은 3억 7000만원 지원에 그쳤다.
더불어 정부와 의료계 최대 현안인 저출산 등 사회구조 변화 대응과 맞춤형 서비스 개발과 지원전략 수립에 8억원을, 치매 등 정신질환 만성화 조기진단 및 치료 표준화 기술개발에 4억 8300만원을 배치해 소극적 투자라는 지적이다.
보건의료기술개발과(과장 정영기) 관계자는 "내년도 실용화 성과를 강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미래유망 기술 분야 투자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면서 "감염병 위기대응과 국가 R&D 공공성과 책임성 확대, 미래유망분야 신시장 창출 및 기술선점을 도모했다"고 평가했다.
복지부는 2016년 1월 사업공고와 접수를 마친 후 3월까지 평가를 통해 4월 중 연구자 선정으로 보건의료 R&D 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