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150명 설문조사, 선배들의 예상치 못한 퇴임 "새옹지마"

공공기관 종사자라면 누구나 듣기 싫은 소리일 것이지만, 유독 보건복지 기관 종사자에게는 더욱 아프게 다가온다.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직종 및 단체가 워낙 다양하고 첨예하므로 의견 수렴 및 정책시행에 있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메디칼타임즈는 2016년 새해를 맞아 보건복지부 공무원 50명(남 24명, 여 26명)과 건강보험공단 직원 50명(남 34명, 여 16명)과 심사평가원 직원 50명(남 17명, 여 33명) 등 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탁상행정은 보건복지 기관이 정책 수행에 있어 보건의료계단체가 문제를 제기할 때 나오는 '단골메뉴'다.
우선 복지부는 48%(24명)가 듣기 싫은 소리로 '탁상행정'을 꼽았으며, 이어 '영혼 없는 존재'(20%, 10명)와 '세금 먹는 하마'(14%, 7명) 순이었다.
심평원도 탁상행정(54%, 27명)을 가장 듣기 싫은 소리라고 꼽았으며, '세금 먹는 하마(24%, 12명), '건강보험 수가 현실화(18%, 9명) 등으로 답했다.
건보공단의 경우 복지부와 심평원과 마찬가지로 탁상행정(42%, 22명)을 가장 듣기 싫은 소리로 답했으며, 보건의료계단체와 수가협상을 하는 기관답게 건강보험 수가 현실화도 32%(16명) 두 번째로 듣기 싫은 소리라고 꼽았다.

본격적인 의사기관장 시대 "보건의료계 화합 기대돼"
보건의료계로부터 '탁상행정'이라는 말을 가장 듣기 싫어서일까.
보건복지 기관 직원들은 의사 출신 부처 및 기관장들에게 가장 기대되는 점으로 '보건의료계 화합'을 꼽았다.
우선, 3곳의 보건복지 기관 종사자들은 모두 의사 등 전문직 종사자가 부처 및 기관장으로 적합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들은 의사 기관 및 부처장 취임을 통해 '보건의료계와의 화합'을 기대했다.
복지부는 무려 72%(36명)이 기관장 취임을 통해 '보건의료계와의 화합을 기대'한다고 답했으며, 기타 항목(14%, 7명)으로 부처의 전문성 강화가 기대된다고 응답했다.
심평원도 의사 출신 기관장 취임을 통해 '보건의료계와의 화합'(68%, 34명)이 기대된다고 꼽았으며, 이어 타기관 외풍 차단(18%, 9명), 인사개혁(8%, 4명), 권위주의 개선(6%, 3명) 순으로 응답했다.
건보공단도 마찬가지로 보건의료계 화합(52%, 26명)이 가장 기대된다고 답했으며, 권위주의 개선(24%, 12명), 타기관 외풍 차단(16%, 8명), 인사개혁(8%, 4명) 순이었다.

선배들의 예상치 못한 퇴임 "인생무상 새옹지마"
그렇다면 보건복지 기관 직원들이 생각하는 입사 전·후 달라진 관점, 즉 부처(기관)에서 근무하며 가장 우선시 하는 것은 무엇일까.
세 기관 모두 단연 '국민적 신뢰'를 꼽았다.
복지부(46%, 23명), 건보공단(36%, 17명), 심평원(54%, 27명) 모두 '국민적 신뢰'를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느 기관 종사자나 '인사' 문제만큼은 쉽게 넘어갈 수 없는 민감한 사안이라는 것이다.
한발 더 나아가 '선배들의 예상치 못한 퇴임을 보면서 느낀 점'을 물은 질문에도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됐다.
복지부의 경우 '인생무상'(46%, 23명), 즉 허무하다고 답했으며, 이어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각자도생(38%, 19명)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건보공단의 경우도 선배들의 예상치 못한 퇴임을 보며 인생무상(44%, 23명)이라는 감정을 느낀다고 응답했으며, 심평원은 이럴수록 '소신 업무'(40%, 20명)를 해야겠다고 답변했다.

심평원의 한 직원은 "임금피크제가 모든 공공기관에 적용되면서 인사 문제가 대두하기도 했다"며 "최근 공로연수를 앞둔 실장급 간부들이 임시조직에 배치되기도 했는데, 이를 바라보며 각자 살아남아야 겠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