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문형곤 교수팀, 12년간 환자 547명 분석 결과
전이가 발생한 4기 유방암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이 3년이라는 사실이 최근 조사에서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문형곤 교수팀은 1998~2010년에 치료받은 전이성유방암 환자의 생존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00년초까지만 해도 19개월에 머물렀던 생존기간이 2000년대중반 2년 이상으로 늘었으며 2000년말 들어서는 39개월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0년대 초반보다 2배 이상 향상된 생존률로 유방암치료 수준의 향상 및 신약 보급확대가 가장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전이는 암이 처음 발생한 장기 이외 다른 체내장기로 이동해 자라는 현상으로, 통상적으로 전이가 발생한 경우 완치가 불가능한 4기암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대병원에서 치료받은 전이성유방암 환자 547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장기생존을 달성한 환자들의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진단 당시의 병기, 암의 호르몬수용체 여부, 증식성 정도가 중요한 예측인자였으며, 재발까지의 기간, 전이병변의 위치, 증상유무 역시 전이 이후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쳤다.
문 교수팀은 이를 기반으로 전이 후 생존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이 예측모델은 국립암센터, 분당서울대병원, 단국대병원, 경상대병원 등 국내 여러 다기관의 전이성유방암 환자의 생존자료에 적용시킨 결과 그 유효성이 검증됐다.
문형곤 교수는 "이 모델링을 통해 장기생존이 가능한 환자 선별이 가능해졌다"며 "환자 개개인의 맞춤화 치료는 물론 적극적인 치료를 제안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환자 스스로 본인의 치료에 대한 주도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의의를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 암정복사업 및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발간하는 국제 암학술지인 'Annals of Oncology' 온라인에 1월 게재됐다.
서울대병원 문형곤 교수팀은 1998~2010년에 치료받은 전이성유방암 환자의 생존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00년초까지만 해도 19개월에 머물렀던 생존기간이 2000년대중반 2년 이상으로 늘었으며 2000년말 들어서는 39개월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0년대 초반보다 2배 이상 향상된 생존률로 유방암치료 수준의 향상 및 신약 보급확대가 가장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전이는 암이 처음 발생한 장기 이외 다른 체내장기로 이동해 자라는 현상으로, 통상적으로 전이가 발생한 경우 완치가 불가능한 4기암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대병원에서 치료받은 전이성유방암 환자 547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장기생존을 달성한 환자들의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진단 당시의 병기, 암의 호르몬수용체 여부, 증식성 정도가 중요한 예측인자였으며, 재발까지의 기간, 전이병변의 위치, 증상유무 역시 전이 이후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쳤다.
문 교수팀은 이를 기반으로 전이 후 생존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이 예측모델은 국립암센터, 분당서울대병원, 단국대병원, 경상대병원 등 국내 여러 다기관의 전이성유방암 환자의 생존자료에 적용시킨 결과 그 유효성이 검증됐다.
문형곤 교수는 "이 모델링을 통해 장기생존이 가능한 환자 선별이 가능해졌다"며 "환자 개개인의 맞춤화 치료는 물론 적극적인 치료를 제안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환자 스스로 본인의 치료에 대한 주도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의의를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 암정복사업 및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발간하는 국제 암학술지인 'Annals of Oncology' 온라인에 1월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