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KMA 3월호, 한림대 허선 교수 교신저자로 참여

서남의대 명지병원 신현영 교수팀은 최근 발간된 대한의사협회 학술지 JKMA(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3월호에 2014년 대한민국 사망원인 통계(Cause-of-death statistics in the Republic of Korea, 2014) 논문을 발표했다.
사망원인 통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의무사항으로 현재 OECD 전 회원국을 포함해 전 세계 약 130여 개 국가에서 작성 중인 주요 통계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선보인 영문 논문은 대한의사협회와 통계청이 공동으로 참여해 매년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대한민국 사망원인 통계를 영문 논문화 하는 작업의 첫 번째 결과물로 명지병원 가정의학과 신현영 교수가 제1저자로, 한림대 허선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2014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통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최근 사망과 관련된 통계지표, 사망원인 및 트렌드 등을 분석해 다양한 지표로 제시하는 논문이 처음으로 영문으로 발표됨에 따라 국제적인 사망 관련 통계분석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됐다.
명지병원 신현영 교수(가정의학과)는 "이번 프로젝트는 우리나라의 체계적인 사망통계 자료가 영문화, 논문화돼 세계적으로 소개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며 "많은 연구자에게 학술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추후 국가 보건의료 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4년 총 사망자 수 및 조사망률(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은 전년 대비 각각 1,435명(0.5%), 0.7명(0.1%)이 늘어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 3대 사망원인은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순이며, 10대 사인 중 심장 질환과 폐렴은 순위 상승하였고 뇌혈관 질환과 당뇨병은 순위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10년 전에 비해 순위가 상승한 사인은 심장 질환(3위→2위), 고의적 자해(5위→4위), 폐렴(10위→5위)이고, 하락한 사인은 뇌혈관 질환(2위→3위), 당뇨병(4위→6위), 간 질환(6위→8위), 운수 사고(8위→9위), 고혈압성 질환(9위→10위) 등이었다.
암에 의한 사망률은 폐암, 간암, 위암 순으로 높고, 남자의 암 사망률(188.7명)은 여자(113.2명)보다 1.67배 높았고, 전년 대비 폐암(1.1%)과 간암(1.0%)은 증가하였으며, 위암(-3.3%)은 감소했다.
순환계통 질환 사망률은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고혈압성 질환 순이고. 여자(119.4명)가 남자(108.4명)보다 사망률이 높았다. 심장 질환 중에는 허혈성 심장 질환(27.9명)의 사망률이 가장 높아, 전년 대비 남녀 사망률 모두 각각 1.2명(1.1%), 0.4명(0.3%) 증가했다.
앞으로 매년 발표되는 우리나라 사망원인통계자료는 지속적으로 JKMA에 영문논문으로 게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