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학회 구체적 방안 논의 진행중…"수요는 충분할 것"
급격한 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각 전문과목들이 노인의학에 관심을 쏟고 있는 가운데 내과와 가정의학과가 통합 세부전문의 제도를 논의중에 있어 주목된다.
기존에 내과학회에서 추진하던 분과전문의를 넘어 일차의료의 중심인 내과와 가정의학과를 아우르는 세부전문의 제도를 검토하고 나선 것.
대한내과학회 관계자는 11일 "내과학회 차원에서 노년내과는 이미 기정사실화하고 추진중인 사안"이라며 "다만 세부전문의로 갈 것인가 분과전문의로 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논의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당초 세부전문의 제도를 검토했지만 일부 전문과목의 반대가 있어 분과전문의로 방향을 틀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하지만 가정의학회와 긴밀한 논의가 이뤄지면서 또 다른 방향이 도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내과학회와 가정의학회는 가칭 노년내과를 내과와 가정의학과를 아우르는 세부전문의 제도로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막바지 논의를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노인의학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 각 학회마다 분과학회를 만드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대전제에 의한 것이다.
대한가정의학회 관계자는 "내과에서 만약 분과전문의 제도를 도입하면 가정의학과도 분과전문의 제도를 만들 수 밖에 없다"며 "이렇게 되면 정신과, 재활의학과 모두 노년 분과전문의 제도를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굳이 이러한 방식으로 가야 하는가에 대해 내과학회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고 덧붙였다.
결국 지금과 같이 각 학회마다 분과전문의를 만드느냐 아니면 세부전문의 제도에 합의해 서로 문호를 열고 전문 인력 창구를 단일화 하는가를 두고 후자에 힘이 실리고 있는 셈이다.
가정의학회 관계자는 "결국 방법은 세가지 중에 하나"라며 "분과전문의로 찢어지느냐 융합 세부전문의를 만드느냐, 혹은 노인의학과를 만드느냐의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가장 중요한 문제는 노인의료를 담당할 전문 인력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키워내는가 하는 것"이라며 "그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현재로서 세부전문의 제도라는데에 두 학회가 뜻을 같이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아직 이러한 방향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우선 각 학회별로 내부적인 합의가 필요한데다 세부전문의 제도에 대해서는 의학회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내과학회 관계자는 "결국 중요한 것은 서로간의 소통이고 상호 존중이라고 본다"며 "각 학회, 전문과목이 서로 주인공을 하려 하면 아무것도 진행될 수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한 "노인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지금 노인의료 전문가는 한명이 아쉬운 상황"이라며 "대표성 문제에 휘둘리지 말고 대의를 위해 서로 양보하며 효율적인 노인의료 전문의 배출 통보를 만들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기존에 내과학회에서 추진하던 분과전문의를 넘어 일차의료의 중심인 내과와 가정의학과를 아우르는 세부전문의 제도를 검토하고 나선 것.
대한내과학회 관계자는 11일 "내과학회 차원에서 노년내과는 이미 기정사실화하고 추진중인 사안"이라며 "다만 세부전문의로 갈 것인가 분과전문의로 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논의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당초 세부전문의 제도를 검토했지만 일부 전문과목의 반대가 있어 분과전문의로 방향을 틀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하지만 가정의학회와 긴밀한 논의가 이뤄지면서 또 다른 방향이 도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내과학회와 가정의학회는 가칭 노년내과를 내과와 가정의학과를 아우르는 세부전문의 제도로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막바지 논의를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노인의학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 각 학회마다 분과학회를 만드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대전제에 의한 것이다.
대한가정의학회 관계자는 "내과에서 만약 분과전문의 제도를 도입하면 가정의학과도 분과전문의 제도를 만들 수 밖에 없다"며 "이렇게 되면 정신과, 재활의학과 모두 노년 분과전문의 제도를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굳이 이러한 방식으로 가야 하는가에 대해 내과학회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고 덧붙였다.
결국 지금과 같이 각 학회마다 분과전문의를 만드느냐 아니면 세부전문의 제도에 합의해 서로 문호를 열고 전문 인력 창구를 단일화 하는가를 두고 후자에 힘이 실리고 있는 셈이다.
가정의학회 관계자는 "결국 방법은 세가지 중에 하나"라며 "분과전문의로 찢어지느냐 융합 세부전문의를 만드느냐, 혹은 노인의학과를 만드느냐의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가장 중요한 문제는 노인의료를 담당할 전문 인력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키워내는가 하는 것"이라며 "그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현재로서 세부전문의 제도라는데에 두 학회가 뜻을 같이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아직 이러한 방향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우선 각 학회별로 내부적인 합의가 필요한데다 세부전문의 제도에 대해서는 의학회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내과학회 관계자는 "결국 중요한 것은 서로간의 소통이고 상호 존중이라고 본다"며 "각 학회, 전문과목이 서로 주인공을 하려 하면 아무것도 진행될 수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한 "노인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지금 노인의료 전문가는 한명이 아쉬운 상황"이라며 "대표성 문제에 휘둘리지 말고 대의를 위해 서로 양보하며 효율적인 노인의료 전문의 배출 통보를 만들었으면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