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학회 연계해 TFT구축…정부, 질 관리·인식개선 촉구
"물증이 없어 공식적으로 문제제기 할 수 없지만 심증은 매우 강하다.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대한영상의학회 김승협 회장(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은 23일 코엑스에서 열린 영상의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비의사의 초음파검사에 대해 문제를 삼았다.

김승협 영상의학회장
학회가 초점을 두는 것은 의사의 관리감독이 안된 상태에서 의료기사 혹은 간호사가 초음파검사를 실시하는 행위.
초음파는 CT, MRI와 달리 현장에서 이뤄지는 만큼 의사가 직접 검사를 실시해야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김 회장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현재 무질서하고 잘못된 관행을 막아야겠다고 판단, 질 관리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학회 차원에서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에는 다들 공감하지만 방법론에 있어 한계가 있어 난감한 상황. 초음파학회와 연계해 TFT를 구축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김 회장은 "검진 수검자가 현장에서 검사자의 신분을 묻고, 만약 의사가 아니라면 관리, 감독을 하고 있는 게 맞는지 확인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현행 의료법 유권해석에 따르면 의사의 관리감독하에선 방사선사 등 의료기사도 초음파 검사를 할 수 있다.
이때 의사의 관리감독이라는 단서가 붙었음에도 막상 현장에서는 의사의 관리, 감독 없이 무분별하게 진행하는 경우가 다반사라는 게 학회 측 주장이다.
영상의학회 최준일 보험간사(서울성모 영상의학과)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수 대비 폭발적인 초음파 검사 건수를 자랑하는 기관이 있다"면서 "의혹을 제기할 수 밖에 없는 사례가 꽤 있다"고 전했다.
최 보험간사가 실시한 환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나 방사선사가 초음파 검가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 모른다는 응답이 55.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 이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53.9%가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즉, 수검자 상당수가 비의사에 의한 초음파 검사가 부적절하다는 생각하지만 그 심각성을 몰랐으며 또 상당수는 관심조차 없었다.
영상의학회는 정부도 비의사의 초음파 검사 관행을 깰 수 있도록 질 관리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김 회장은 "기존의 잘못된 관행을 반드시 깨야한다"면서 "특히 5대암에 실시하는 초음파검사는 건보재정을 투입하는 만큼 이를 관리, 감독하고 국민 인식개선에 나서야 하는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현재 의료기사 등 무분별한 초음파 검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는다면 최근 한의사 등 타 직역의 초음파검사 확대를 막을 논리도 빈약해진다"면서 거듭 환기시켰다.
대한영상의학회 김승협 회장(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은 23일 코엑스에서 열린 영상의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비의사의 초음파검사에 대해 문제를 삼았다.

초음파는 CT, MRI와 달리 현장에서 이뤄지는 만큼 의사가 직접 검사를 실시해야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김 회장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현재 무질서하고 잘못된 관행을 막아야겠다고 판단, 질 관리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학회 차원에서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에는 다들 공감하지만 방법론에 있어 한계가 있어 난감한 상황. 초음파학회와 연계해 TFT를 구축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김 회장은 "검진 수검자가 현장에서 검사자의 신분을 묻고, 만약 의사가 아니라면 관리, 감독을 하고 있는 게 맞는지 확인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현행 의료법 유권해석에 따르면 의사의 관리감독하에선 방사선사 등 의료기사도 초음파 검사를 할 수 있다.
이때 의사의 관리감독이라는 단서가 붙었음에도 막상 현장에서는 의사의 관리, 감독 없이 무분별하게 진행하는 경우가 다반사라는 게 학회 측 주장이다.
영상의학회 최준일 보험간사(서울성모 영상의학과)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수 대비 폭발적인 초음파 검사 건수를 자랑하는 기관이 있다"면서 "의혹을 제기할 수 밖에 없는 사례가 꽤 있다"고 전했다.
최 보험간사가 실시한 환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나 방사선사가 초음파 검가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 모른다는 응답이 55.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즉, 수검자 상당수가 비의사에 의한 초음파 검사가 부적절하다는 생각하지만 그 심각성을 몰랐으며 또 상당수는 관심조차 없었다.
영상의학회는 정부도 비의사의 초음파 검사 관행을 깰 수 있도록 질 관리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김 회장은 "기존의 잘못된 관행을 반드시 깨야한다"면서 "특히 5대암에 실시하는 초음파검사는 건보재정을 투입하는 만큼 이를 관리, 감독하고 국민 인식개선에 나서야 하는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현재 의료기사 등 무분별한 초음파 검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는다면 최근 한의사 등 타 직역의 초음파검사 확대를 막을 논리도 빈약해진다"면서 거듭 환기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