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부산 배산클리닉내과 김홍식 원장 "제발 현장 목소리 들어달라"
"올해도 혼란은 여전했다. 이대로라면 내년도 똑같을 것이다."
노인 무료독감 접종사업을 마친 동네의원 원장의 하소연이다. 초기 환자 쏠림, 전상망 다운, 의료기관의 애로사항, 일반 진료환자들의 고통. 모두가 지난해와 마찬가지였다는 것.
만 65세 이상 노인 약 500만명 대상 독감 무료접종이 전국 의료기관에서 지난 4일 전격 시행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초기 접종자가 몰리는 병목현상을 감안해 연령별로 접종일을 구분해 10월 4일부터는 만 75세 이상, 10일부터 만 65세에서 74세 노인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무료접종을 전국 1만 7000여곳 의료기관에서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업을 앞두고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관계자는 "지난해 접종 시작 5일만에 전체 접종자의 43%(약 240만명)이 의료기관에 몰려는 초기 쏠림현상이 심했다"며 "올해는 1주일 간격으로 연령대별 무료접종 시작일을 구분하고, 접종일정 준수를 대한노인회와 지자체 등과 함께 홍보해 초기 혼잡과 안전사고가 없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지난해와 다를 바 없었다는 것이 사업에 참여한 의료기관들의 지적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었고 대안은 무엇일까. 메디칼타임즈는 부산 배산클리닉내과 김홍식 원장에게 직접 해답을 들어봤다.
질병관리본부는 노인 무료독감 접종사업을 시작하면서 지난해와 같은 초기 환자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연령별로 접종일을 구분했다. 실제로 효과적이었나.
지난해와 마찬가지였다. 정부는 혼란을 막기 위해 연령에 따라 접종일을 분류했지만 만 75세 이상 접종 첫날인 4일과 만 65세 이상 접종 첫날인 10일은 상당히 혼란했다. 아무래도 빨리 맞으려는 노인분들의 조급한 성향 때문인 것 같다.
무료 독감접종과 관련해 노인들이 조급해 하는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나.
노인분들에게 왜 가뜩이나 사람많은 첫날 고생하면서 접종하려고 하는지 물어보면 대부분 약이 떨어질까봐 걱정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그들 대부분이 과거 보건소에서 접종할 때 약이 없어서 접종을 받지 못한 경험을 안고 있다. 이런 이유로 물량 부족에 따라 접종을 받지 못할까하는 불안감이 생긴 것 같다.
과거 보건소에서 접종하던 시절과는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그럼에도 같은 현상이 반복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장 큰 이유는 정부의 홍보 부족이다. 정부가 접종자들을 안심시켜 편안하게 맞게 해야 한다. 과거처럼 물량이 부족하지 않다는 것을 적극 알리고 환자들이 스스로 접종일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끔 홍보가 필요하다.
접종일이 지나 뒤늦게 찾아오는 노인들도 꽤 있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올해 처음으로 대상자에 포함된 1951년생이었다. 결국 첫 사업 대상자들에게 공지가 부족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을 보면 사업 대상자인 국민에게 구체적인 홍보가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것 같다. 일방적인 고지보다 방송 매체 등 국민 접근성이 좋은 매체를 통한 홍보가 효과적일 것이다.
실제로 접종물량이 부족하진 않았나.
솔직히 접종물량은 올해도 조금 부족했다. 오늘 아침에도 접종약이 없어서 9명을 돌려보냈다. 보건소 요청해봐도 물량이 없다고 한다.
지난해보다 약을 많이 풀었는데도 부족한 이유는 지난해보다 많은 의료기관이 참여했기 때문이다. 많은 의료기관이 참여하다보니 물량이 분산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현재 의료기관 각 곳에서 남아있는 약들은 많은데 환자 분배가 제대로 안 되다보니 물량이 부족한 곳도 많고 남아서 고민인 곳도 많다.
보건소에서는 돈으로 환불할테니 남는 약을 반환해달라며 정리에 나서는 분위기지만 사업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약이 남았어도 선뜻 내놓기가 어려울 것이다.
올해도 시행 첫 날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사이트에 접속이 안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따른 어려움은 없었나.
올해도 첫날 접종등록 전산이 마비됐었다. 해당자 조회도 안 되고 일반 환자 진료 대기시간만 길어져 부득이 무료 독감 접종을 올스톱했었다. 기다려도 되는 분들은 다른 의료기관에서 접종하도록 권고했다.
중복접종에 대한 의료기관의 애로사항도 크다고 들었다.
팔순 노인이 독감 접종을 하러 왔다. 접수실에서 전산 조회하니 해당자였다. 당연히 접수하고 차례를 기다리고 예진한 후 접종을 해줬다. 그런데 등록하려고 보니 그 사이에 다른 의료기관에서 접종했다고 등록돼 있었다.
해당 의료기관에 문의하니 조금 전에 접종하고 가셨단다. 환자는 기다렸다 가라했으나 접종후 바로 나가버려 환자 연락처로 연락하니 가족이 받는데 치매 환자라는 것. 75세 이상이면 치매나 인지장애가 많은데 접종 맞고도 안 맞았다고 다시 접종 받으러 오면 의료기관에서는 어떻게 하는가.
중복접종을 할 경우 의료기관이 입는 피해는 무엇인가.
중복접종을 했을 때 나중에 등록을 하지 못하는 의료기관은 그 만큼의 물량을 자비로 물어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백신을 500개 받았으면 500명을 등록해야 하는데 만일 다른데서 먼저 맞고 온 접종자가 10명이라서, 실제로는 500명에게 접종했지만 등록은 490명을 한다면 10개분은 해당 의료기관이 돈을 지불해야만 한다. 이같은 손실분에 대해 의료기관의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그 손실도 만회해줘야 하는 게 마땅하다.
접종자들이 몰릴 경우 일반 진료환자들이 겪는 고통도 클 것 같다.
만 65세 이상 노인 무료접종 첫날이던 지난 10일 접종자들이 몰려 일반 환자들이 발길을 돌려야 했다. 그나마 기다린 일반 환자들은 몇시간이나 지나서 진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불편을 겪었다. 민관이 협력해서 국민에게 혜택을 주겠다는 것이 이 사업의 취지인데 실제로는 많은 국민과 민간의료기관이 이 사업으로 인해서 피해를 보고 있는 셈이다.
접종 병목현상을 해결할 대안은있나.
차라리 사전등록제를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같다. 의료기관에 환자가 비교적 적은 7월부터 해당 의료기관이 지금 등록 절차처럼 해당 의료기관에서 접종할 환자를 사전등록하게 하고 질본은 8월말까지 중복 등록된 노인에 대해 해당 의료기관 이용 빈도 등을 조회해 한 군데만 승인하고 다른 사전 등록은 삭제하여 의료기관 간에 접종 전쟁을 피하게 하는 것이다.
또 사전 등록하지 않은 자와 사전등록을 했지만 사전 등록이후 부득이하게 장소를 옮긴 자는 무조건 보건소 등 공공 의료기관에서만 접종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사전 등록이 적을지 모르나 지속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해나가면 늘어날 것이다. 이처럼 사전 등록 의무화로 하면 접종을 둘러싼 갈등을 없앨 수 있다.
또 사전등록한 사람에 대해서는 해당 병의원에서 문자 등을 통해 접종 날짜도 조정할 수 있다. 의료기관 단골환자의 경우 해당 의료기관에서 접종하도록 사전 등록을 하게 하고 알림을 의료기관에서 할 수 있게 하면 지금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또 사전 등록하면 물량 배분도 조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사업은 간단해보여도 무려 500만명을 대상으로 하는 큰 사업이다. 지금처럼 날짜만 구분해서는 힘들 것이고 내년에도 혼란이 반복될 것이다.
보건당국에서 이 사업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현장의 어려움이나 청취를 했으면 좋겠다. 실제로 사업 기간 중 담당 공무원들이 얼마나 현장 시찰을 나가봤는지 모르겠다. 현장에 나와보면 의료기관의 하소연뿐 아니라 접종을 기다리는 노인분들의 불만의 소리가 분명히 있다.
세밀하고 효율적인 접종이 되도록 정부가 제도를 개선했으면 좋겠다.
노인 무료독감 접종사업을 마친 동네의원 원장의 하소연이다. 초기 환자 쏠림, 전상망 다운, 의료기관의 애로사항, 일반 진료환자들의 고통. 모두가 지난해와 마찬가지였다는 것.
만 65세 이상 노인 약 500만명 대상 독감 무료접종이 전국 의료기관에서 지난 4일 전격 시행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초기 접종자가 몰리는 병목현상을 감안해 연령별로 접종일을 구분해 10월 4일부터는 만 75세 이상, 10일부터 만 65세에서 74세 노인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무료접종을 전국 1만 7000여곳 의료기관에서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업을 앞두고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관계자는 "지난해 접종 시작 5일만에 전체 접종자의 43%(약 240만명)이 의료기관에 몰려는 초기 쏠림현상이 심했다"며 "올해는 1주일 간격으로 연령대별 무료접종 시작일을 구분하고, 접종일정 준수를 대한노인회와 지자체 등과 함께 홍보해 초기 혼잡과 안전사고가 없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지난해와 다를 바 없었다는 것이 사업에 참여한 의료기관들의 지적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었고 대안은 무엇일까. 메디칼타임즈는 부산 배산클리닉내과 김홍식 원장에게 직접 해답을 들어봤다.
질병관리본부는 노인 무료독감 접종사업을 시작하면서 지난해와 같은 초기 환자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연령별로 접종일을 구분했다. 실제로 효과적이었나.
지난해와 마찬가지였다. 정부는 혼란을 막기 위해 연령에 따라 접종일을 분류했지만 만 75세 이상 접종 첫날인 4일과 만 65세 이상 접종 첫날인 10일은 상당히 혼란했다. 아무래도 빨리 맞으려는 노인분들의 조급한 성향 때문인 것 같다.
무료 독감접종과 관련해 노인들이 조급해 하는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나.
노인분들에게 왜 가뜩이나 사람많은 첫날 고생하면서 접종하려고 하는지 물어보면 대부분 약이 떨어질까봐 걱정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그들 대부분이 과거 보건소에서 접종할 때 약이 없어서 접종을 받지 못한 경험을 안고 있다. 이런 이유로 물량 부족에 따라 접종을 받지 못할까하는 불안감이 생긴 것 같다.
과거 보건소에서 접종하던 시절과는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그럼에도 같은 현상이 반복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장 큰 이유는 정부의 홍보 부족이다. 정부가 접종자들을 안심시켜 편안하게 맞게 해야 한다. 과거처럼 물량이 부족하지 않다는 것을 적극 알리고 환자들이 스스로 접종일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끔 홍보가 필요하다.
접종일이 지나 뒤늦게 찾아오는 노인들도 꽤 있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올해 처음으로 대상자에 포함된 1951년생이었다. 결국 첫 사업 대상자들에게 공지가 부족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을 보면 사업 대상자인 국민에게 구체적인 홍보가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것 같다. 일방적인 고지보다 방송 매체 등 국민 접근성이 좋은 매체를 통한 홍보가 효과적일 것이다.
실제로 접종물량이 부족하진 않았나.
솔직히 접종물량은 올해도 조금 부족했다. 오늘 아침에도 접종약이 없어서 9명을 돌려보냈다. 보건소 요청해봐도 물량이 없다고 한다.
지난해보다 약을 많이 풀었는데도 부족한 이유는 지난해보다 많은 의료기관이 참여했기 때문이다. 많은 의료기관이 참여하다보니 물량이 분산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현재 의료기관 각 곳에서 남아있는 약들은 많은데 환자 분배가 제대로 안 되다보니 물량이 부족한 곳도 많고 남아서 고민인 곳도 많다.
보건소에서는 돈으로 환불할테니 남는 약을 반환해달라며 정리에 나서는 분위기지만 사업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약이 남았어도 선뜻 내놓기가 어려울 것이다.
올해도 시행 첫 날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사이트에 접속이 안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따른 어려움은 없었나.
올해도 첫날 접종등록 전산이 마비됐었다. 해당자 조회도 안 되고 일반 환자 진료 대기시간만 길어져 부득이 무료 독감 접종을 올스톱했었다. 기다려도 되는 분들은 다른 의료기관에서 접종하도록 권고했다.
중복접종에 대한 의료기관의 애로사항도 크다고 들었다.
팔순 노인이 독감 접종을 하러 왔다. 접수실에서 전산 조회하니 해당자였다. 당연히 접수하고 차례를 기다리고 예진한 후 접종을 해줬다. 그런데 등록하려고 보니 그 사이에 다른 의료기관에서 접종했다고 등록돼 있었다.
해당 의료기관에 문의하니 조금 전에 접종하고 가셨단다. 환자는 기다렸다 가라했으나 접종후 바로 나가버려 환자 연락처로 연락하니 가족이 받는데 치매 환자라는 것. 75세 이상이면 치매나 인지장애가 많은데 접종 맞고도 안 맞았다고 다시 접종 받으러 오면 의료기관에서는 어떻게 하는가.
중복접종을 할 경우 의료기관이 입는 피해는 무엇인가.
중복접종을 했을 때 나중에 등록을 하지 못하는 의료기관은 그 만큼의 물량을 자비로 물어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백신을 500개 받았으면 500명을 등록해야 하는데 만일 다른데서 먼저 맞고 온 접종자가 10명이라서, 실제로는 500명에게 접종했지만 등록은 490명을 한다면 10개분은 해당 의료기관이 돈을 지불해야만 한다. 이같은 손실분에 대해 의료기관의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그 손실도 만회해줘야 하는 게 마땅하다.
접종자들이 몰릴 경우 일반 진료환자들이 겪는 고통도 클 것 같다.
만 65세 이상 노인 무료접종 첫날이던 지난 10일 접종자들이 몰려 일반 환자들이 발길을 돌려야 했다. 그나마 기다린 일반 환자들은 몇시간이나 지나서 진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불편을 겪었다. 민관이 협력해서 국민에게 혜택을 주겠다는 것이 이 사업의 취지인데 실제로는 많은 국민과 민간의료기관이 이 사업으로 인해서 피해를 보고 있는 셈이다.
접종 병목현상을 해결할 대안은있나.
차라리 사전등록제를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같다. 의료기관에 환자가 비교적 적은 7월부터 해당 의료기관이 지금 등록 절차처럼 해당 의료기관에서 접종할 환자를 사전등록하게 하고 질본은 8월말까지 중복 등록된 노인에 대해 해당 의료기관 이용 빈도 등을 조회해 한 군데만 승인하고 다른 사전 등록은 삭제하여 의료기관 간에 접종 전쟁을 피하게 하는 것이다.
또 사전 등록하지 않은 자와 사전등록을 했지만 사전 등록이후 부득이하게 장소를 옮긴 자는 무조건 보건소 등 공공 의료기관에서만 접종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사전 등록이 적을지 모르나 지속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해나가면 늘어날 것이다. 이처럼 사전 등록 의무화로 하면 접종을 둘러싼 갈등을 없앨 수 있다.
또 사전등록한 사람에 대해서는 해당 병의원에서 문자 등을 통해 접종 날짜도 조정할 수 있다. 의료기관 단골환자의 경우 해당 의료기관에서 접종하도록 사전 등록을 하게 하고 알림을 의료기관에서 할 수 있게 하면 지금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또 사전 등록하면 물량 배분도 조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사업은 간단해보여도 무려 500만명을 대상으로 하는 큰 사업이다. 지금처럼 날짜만 구분해서는 힘들 것이고 내년에도 혼란이 반복될 것이다.
보건당국에서 이 사업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현장의 어려움이나 청취를 했으면 좋겠다. 실제로 사업 기간 중 담당 공무원들이 얼마나 현장 시찰을 나가봤는지 모르겠다. 현장에 나와보면 의료기관의 하소연뿐 아니라 접종을 기다리는 노인분들의 불만의 소리가 분명히 있다.
세밀하고 효율적인 접종이 되도록 정부가 제도를 개선했으면 좋겠다.